|
우리 문헌에 나오는 용의 기록은 그 역사가 꽤나 깊다. 용의 순수한 우리 이름은 미르(훈몽자회) 또는 미리(아언각비)다. 현재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용은 그 출생지가 약간씩 다르다. 인도에서 온 불교적인 용, 중국의 도교나 유교에서 온 용, 본래 이 땅에 있던 순수 토종 용 등이다. 그 역할을 뭉뚱그려보면 예시예언자·수신(水神)·호국·호법(護法)등 크게 네 가지이다.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 탈해왕은 용의 자식으로 인간세상에 내려온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견휜의 설화에서처럼 나라의 창건과 관련된 설화도 용의 예언예시자적 역할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고려사》에는 서해 용왕이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에게 먼 훗날 아들이 왕이 될 것을 예언한 것으로 나와 있다. 고대소설 '홍길동'에도 아버지 홍 판서의 꿈에 청룡이 나타나서 홍길동의 탄생을 점지해주고 있다.
수신으로서의 용은 자연현상을 마음대로 조화부리는 존재로 신격화되었다. 진평왕 때는 용 그림을 그려놓고 비를 기다리는 화룡제를 지냈으며, 고려 헌종은 흙으로 용의 형상을 만들어 토룡제를 지냈다. 또, 조선시대에는 오해와 오강을 정하여 용신제를 지냈다는 기록도 보인다. 성호이익의 《성호사설》에는 '용이 싸우면 비가 내리고, 독룡이 놀라면 벼락치고, 용이 화가 나면 홍수난다'라는 부분이 있다. 토속신앙에서는 용왕에게 제사지내며 풍어를 기원하기도 했다. 민간설화에도 용왕·용궁이 많이 등장한다.
용은 호국의 상징이기도 했다. 《삼국유사》에는 황룡사에 구층탑을 세우면 이웃나라의 항복을 받아 국태민안할 것이라고 예언한 바 그 탑을 세운 후 머지않아 삼국이 통일되었다. 신라 원성왕 때는 당나라 사신이 동해용과 청지용·분황사 용을 고기를 만들어 주머니에 넣어가려던 것을 되찾았다는 기록도 있다.
용은 불교를 보호하고 번창시키는 호법의 화신으로 보다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불교의 유입과 함께 인도문물이 중국으로 전래되면서 아직 신격화되지 않았던 중국의 용은 인도의 사신(蛇神)숭배 사상을 빌어 비로소 신격화되었다. 용은 신격화와 함께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승격되어 팔부신 중의 하나가 되었다.
용을 임금에 비유한다. 고려가요인 <쌍화점>을 보면 우물가의 처녀가 용에게 손목을 잡힌 이야기가 나오는데, 즉 우물의 용이 바로 임금이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역성혁명을 합리화하기 위한 <용비어천가>에 태조 이성계를 포함한 웃대 선조들이 모두 용으로 표현되어 있다. 예컨대 용안(龍顔)· 곤룡포(崑龍袍)·용상(龍床)·용좌(龍座)·용가(龍駕)·용거(龍車)·용덕(龍德) 등의 단어들이 그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새해들어 첫 진일(辰日)을 '용의 날'이라 하는데, 이날은 하늘에 있는 용이 지상으로 내려와 우물 속에 알을 낳는다. 이 물을 길어다 밥을 지으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맨 먼저 물을 길러간 이는 그 표시로 우물에 지푸라기를 걸쳐놓는다. 집안 우물이든 공동우물이든 용날 하루 전에는 용이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우물 주변을 청소하였다. 기우제나 기자의식 때에는 반드시 용의 강림을 받았다. 신라때는 삿된 것을 내쫓기 위해 대문간에다 용의 아들인 처용 그림을 그려 붙였다. 심지어 저승으로 가는 상여에도 용은 망자의 명복을 빌며 따라간다.
우리 속담에는 용에 관한 것이 유난히 많다. '개천에서 용났다'는 말은 변변찮은 집안에서 인물이 났다는 이야기이고, '길 닦아놓으니 용천배기 지랄한다'는 말은 공들여 놓은 일이 보람없이 일그러졌을 때 하는 이야기다. 또한 '용 못된 이무기'는 심술만 남아 남의 일에 훼방놓는 심술꾸러기를 가르키는 이야기다. '용이 물 밖에 나니 개미새끼까지 까불싹댄다'는 말은 잘난 사람이 한번 실패해서 기가 죽으니 하찮은 것들이 함부로 한다는 말이다.
놀라운 상상의 동물인 용은 십이지의 다섯 번째 동물로 '진(辰)'이라고 한다. '진(辰)'이라는 글자는 용의 특징을 그대로 닮아 힘차게 기상하는 모양이다. 진은 시간으로는 오전 7시에서 9시 사이, 달로는 음력 3월에 해당한다.
재미로 보는 띠별성격
쥐띠 자(子) |
쥐띠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돈의 가치를 굳게 신봉하는 사람으로 사물의 세부적인 면과 금전적인 면을 간과하지 않는다. 쥐띠생 사람은 매우 근면하고 절약가이다. 남들이 모르는 곳에서 노력하는 타입으로 인내심이 강하기로는 12지 가운데 최고이다. 친구들에게 친절하며 인간관계는 운좋게 진전되는 편이다. 쥐띠생은 체질적으로 실패를 두려워하는 완벽주의자이기 때문에 결단을 내리는 것과 그것을 행동에 옮기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일단 목표를 정한다면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간다는 장점이 있다. 직업은 음식업이나 은행원이 맞는다. 천성적으로 방위본능이 강하고 절약가이다. 돈 모으기를 힘들어 하지 않는다. 조금씩 조금씩 모아가는 것이 제일 좋다. 쥐띠는 조숙한 사람이 많다. 첫사랑도 빠른 사람이 많으며, 사랑에서 낭만을 찾는 타입이다. 그러나 냉정한 성격이므로 곧 불타오르는 일이 없다. 몇 번 데이트를 한 뒤 수동적인 입장에서 사랑이 싹튼다. 상대로는 세상 어딘가에 있는 멋있는 사람보다는 학교나 가정의 근처에 있는 주변 사람들이 좋다. 그러한 사람이 쥐 띠에게는 성실하다. 짝으로는 쥐띠, 용띠, 원숭이띠가 좋다. |
소띠 축(丑) |
소띠생은 겉으로는 별로 개성이 없고 엄격한 성격처럼 보이지만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이로움이 잘 따르므로 집안이 부유하고 화목하게 되는데, 자칫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욕심과 사치가 지나쳐서 도리어 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 |
호랑이띠 인(寅) |
천성적으로 의리와 정의를 중시하여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호랑이띠생은 결단력 있고 정열적이며 덕을 쌓으면 많은 사람 위에 설 수 있어 정ㆍ재계를 막론하고 호랑이띠는 대표적 우두머리 감이다. |
토끼띠 묘(卯) |
토끼띠는 묘(卯)의 넉넉한 양기를 받아 원만한 기풍과 자애로운 정을 지닌다. 그러므로 토끼띠 생은 사람들로부터 호감을 받는 느긋하고 온화한 기질의 소유자이다. 그리고 착한 성질을 타고난 이상주의자이며 심미적 감수성이 뛰어나 예술가적 기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내성적이며 완벽성을 추구하여 훌륭한 판단력과 학자적 기질이 있기도 하다. 상냥하고 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으며 신임 또한 두텁다. 반면 조용하고 온순해 보이는 성격의 이면에는 강한 의지가 거의 자기 도취적인 자신감을 가지고 있어 지나치게 상상력을 발휘하고, 또한 지나치게 예민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냉정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 |
용띠 진(辰) |
용띠 생은 도량이 크며 생명력이 넘치며 그는 끊임없이 앞으로 전진한다. 그러나 독선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독단적이고 변덕스러우며 요구하는 것도 많고 무모한 성격도 지니고 있다. 또 자존심이 강하고 배타적이며 매우 직선적인 용띠 생은 인생의 초기에 자신의 의지를 확고히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과 마찬가지로 높은 기준과 완벽성을 요구한다. 너무 자존심이 강해서 남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으며, 너무 확신에 차서 일처리에 있어서 어떤 여지를 남겨놓는 법이 없다. 너무나 앞으로 전진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뒤와 옆을 돌아볼 줄 모른다. 너무 곧아서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좋은 점이 많은 만큼 결점도 많지만 용띠 생의 광채는 모든 사람들에게 빛을 비춘다. 그는 좀스럽지도 않고 인색하지도 않다. 용띠 생은 외향적이고 자연을 사랑하는 활동가, 여행가, 그리고 뛰어난 언변가의 기질이 있다. |
뱀띠 사(巳) |
무슨 일이든 자력으로 이룩하려는 의지력을 갖고 곤경에 처해도 굴하지 않는 뱀띠는 용의주도하고 자유로운 발상을 겸비한 일꾼들이다. |
말띠 오(午) |
말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발랄하고 인기 있으며 기지가 있다. 그는 잘 생긴 용모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성적 매력이 많다. 실속있고 따뜻하게 흥미를 끌며 매우 지각있고 이야기하기를 좋아한다. 그의 변하기 쉬운 기질은 때때로 그를 불같은 성질과 성급함·고집 스러움으로 나타난다. 예측하기 어려운 말띠생들은 쉽게 사랑에 빠지며 마찬가지로 쉽게 사랑이 식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말띠생은 집을 일찍 떠난다. 그렇지 않는 경우에도 그의 독립정신은 그로 하여금 이른 나이에 일을 시작하고 직업을 갖도록 자극한다. 또한 말띠생은 열두띠중에서 바람기 많은 남자와 여자이며, 허세 부리기를 좋아하고 움직임이 있는 곳에 있기를 좋아한다. 틀림없이 유쾌한 사람으로서 칭찬을 듣고 해 주기를 좋아한다. 사업에서도 사랑에서 만큼 솜씨가 있다. 재빠르고, 재치 있는 말띠들은 정황을 빈틈없이 파악하고 사람과 사건을 잘 다룬다. 부정적인 면으로는 충동적이고 완고하다. 그리고 불과 같이 화를 내는데 자기자신은 빨리 감정의 폭발을 잊는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의 성격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들처럼 빨리 감정을 회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성격이 그들로 하여금 존경이나 신뢰를 잃게 하는 요인이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
양띠 미(未) |
양띠인 사람은 대개 온순하다. 양이 마치 순한 동물의 상징처럼 되어 그러한 말이 통용된다. 순한 사람을 일러 법 없이도 살 사람이라 하는데, 양띠인 사람을 일러 하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양은 높은 곳에 오르기를 좋아하고, 맹랑하며, 잘 놀라기도 한다. 그래서 양띠인 사람을 방정맞다거나 경망스럽다거나 하는 부정적인 성격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양과 염소를 대개 구별하지 않았던 관계로 염소의 성격을 들어 양띠인 사람을 경거망동하는 성격으로 말하기도 한다. 또한 돼지나 소는 몰고 가는 것에 반해서 염소는 끌고 간다. 사람이 앞서야 따라 오는 것이다. 또 소의 고집에 못지 않게 염소의 고집도 대단하다. 소고집이라는 말이 하나의 낱말로써 통용되듯, 염소고집이라는 말 역시 하나의 속담으로 우리 사회에서 관용되고 있다. |
원숭이띠 신(申) |
기회를 포착하는데 매우 재빠르고, 판단력과 행동력이 뛰어나며 사교적이라서 팔방미인인 원숭이띠는 성격이 밝고 긍정적이지만 재주만 믿다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수가 있으니 조심해야 된다. |
닭띠 유(酉) |
닭띠는 자신에 대한 확신이 강하고 적극적이지만, 보수적이고 고집스러운 점이 있다. 또한 정보수집 능력과 앞을 내다보는 선견력이 뛰어나며, 무슨 일이든 마무르는 재주를 가진 닭띠는 계획적이고 꼼꼼해서 헛일을 하지 않는다. |
개띠 술(戌) |
개띠는 총명하고 이지적으로 자존심과 책임감이 강한 성격이며, 어떤 일도 해내는 관찰력이 특성이다. 하지만 고집과 반발심은 적절한 자제력이 필요하다. |
돼지띠 해(亥) |
의지, 근면, 친절과 동정, 여러가지 성격상 장점을 갖고 있는 돼지띠는 화가나 음악가, 시인, 문필가, 도예가 등 예술 방면이 적성에 맞는 방향이다. 돼지띠생 남자들은 대체로 일단 목표를 정하면 그것을 달성할 때까지 한가지 일을 꾸준히 밀고 가는 당찬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래서 항시 침착하며 서두르지 않고 상대를 이해하려는 마음으로 지내려고 애를 쓴다. 이러다 보니 자신이 얘기하기보다는 주로 상대방 얘기를 귀담아 듣는 편이며, 설사 상대방 얘기가 틀렸다해도 모질게 질타하기보다는 이해하려고 하는 편이다. 이렇게 되니 때로는 나쁜 사람들에게 이용당하기 쉬워 위험한 경우도 있다. 한편 돼지띠 여성은 자상한 엄마로서 가정에 충실하며, 이것이 지나쳐 아이와 남편을 과잉보호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무딘듯하면서 천성적으로 지닌 뚝심으로 인해 어떠한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도 결코 절망을 오래하지 않고 바로 헤쳐 나간다. 이것은 남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천성이 남을 헐뜯지 못하는 성격으로 남에게 폐를 끼쳤다던가 말을 과격하게 했다던가 했을 땐 몹시 고민을 하며 초조해 한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무슨 일을 시작할 때나 권유를 받을 때 빨리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
|
* 10干(간) (天干/천간)과 12支(지) (地支/지지)
보통 “너는 무슨 띠냐”고 많이들 묻습니다.
무슨 띠인지를 알려면 무슨 해에 태어났는지를 알아야 하죠.
매년 무슨 해 인지는 10간, 12지에 의해 결정됩니다.
해마다 하나씩 뒤로 밀려가며 짝을 지어 결정되는 것이며 12지가 띠가 됩니다.
2009년은 己丑年(소띠 해)이었으므로 2010년은 庚寅年(호랑이 해)이 되고
올해 2011年은 辛卯年(토끼 해)이니 내년 2012年은 壬辰年(용의 해)이 됩니다.
* 10干(간) (天干/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12支(지) (地支/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매년 한 칸씩 뒤로 짝을 지어 가다 보면 60개가 되는데 첫 번째는
10간 첫 번째인 갑(甲)과 12지의 첫 번째 자(子)를 조합하여 “갑자(甲子)”
10간 두 번째인 을(乙)과 12지의 두 번째 축(丑)을 조합하여 “을축(乙丑)”
60갑자의 마지막 해는 간지의 각각 끝 글자인 계해(癸亥)가 됩니다.
61번째는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갑자(甲子)” 年이 되는 겁니다. (이름하여 還甲)
즉, 60갑자는 60년에 한번씩 돌아오게 됩니다.
(“삼천갑자 동방삭”이란 결국 3000*60=18만년 이죠)
참고로 서기년에 대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甲子(갑자) 1924, 1984, 2044 甲申(갑신) 1884, 1944, 2004 甲辰(갑진) 1904, 1964, 2024 乙丑(을축) 1925, 1985, 2045 乙酉(을유) 1885, 1945, 2005 乙巳(을사) 1905, 1965, 2025 丙寅(병인) 1926, 1986, 2046 丙戌(병술) 1886, 1946, 2006 丙午(병오) 1906, 1966, 2026 丁卯(정묘) 1927, 1987, 2047 丁亥(정해) 1887, 1947, 2007 丁未(정미) 1907, 1967, 2027 戊辰(무진) 1928, 1988, 2048 戊子(무자) 1888, 1948, 2008 戊申(무신) 1908, 1968, 2028 己巳(기사) 1929, 1989, 2049 己丑(기축) 1889, 1949, 2009 己酉(기유) 1909, 1969, 2029 庚午(경오) 1930, 1990, 2050 庚寅(경인) 1890, 1950, 2010 庚戌(경술) 1910, 1970, 2030 辛未(신미) 1931, 1991, 2051 辛卯(신묘) 1891,1951,2011 辛亥(신해) 1911, 1971, 2031 壬申(임신) 1932, 1992, 2052 壬辰(임진) 1892,1952,2012 壬子(임자) 1912, 1972, 2032 癸酉(계유) 1933, 1993, 2053 癸巳(계사) 1893, 1953, 2013 癸丑(계축) 1913, 1973, 2033 甲戌(갑술) 1934, 1994, 2054 甲午(갑오) 1894, 1954, 2014 甲寅(갑인) 1914, 1974, 2034 乙亥(을해) 1935, 1995, 2055 乙未(을미) 1895, 1955, 2015 乙卯(을묘) 1915, 1975, 2035 丙子(병자) 1936, 1996, 2056 丙申(병신) 1896, 1956, 2016 丙辰(병진) 1916, 1976, 2036 丁丑(정축) 1937, 1997, 2057 丁酉(정유) 1897, 1957, 2017 丁巳(정사) 1917, 1977, 2037 戊寅(무인) 1938, 1998, 2058 戊戌(무술) 1898, 1958, 2018 戊午(무오) 1918, 1978, 2038 己卯(기묘) 1939, 1999, 2059 己亥(기해) 1899, 1959, 2019 己未(기미) 1919, 1979, 2039 庚辰(경진) 1940, 2000, 2060 庚子(경자) 1900, 1960, 2020 庚申(경신) 1920, 1980, 2040 辛巳(신사) 1941, 2001, 2061 辛丑(신축) 1901, 1961, 2021 辛酉(신유) 1921, 1981, 2041 壬午(임오) 1942, 2002, 2062 壬寅(임인) 1902, 1962, 2022 壬戌(임술) 1922, 1982, 2042 癸未(계미) 1943, 2003, 2063 癸卯(계묘) 1903, 1963, 2023 癸亥(계해) 1923, 1983, 2043
그리고
옛날엔 하루 24시간을 나타내는데 역시 12支를 사용하였습니다.
즉 하루를 오늘날처럼 24시간으로 구분하지 않고 “12時”로 구분하였습니다.
24시간을 12로 나누면 각 時마다 2시간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죠.
12지의 시작이 子(자)이므로 하루의 시작도 자시(23시~ 01시)로 하였구요
그리고 별도로 1更(경), 2更~ 5更까지 부르기도 하였죠. (“은한이 삼경인제~”하는)
子時가 3更입니다.(시계판을 머리 속에 그려 보시면 12시 좌우 1시간(23~01시)이 3更.
그리고 다시 2시간씩 앞으로 가면 2更(21시~23시), 뒤로 가면 4更(01시~03시),
한번씩 더 가면 1更 (19시~21시), 다시 뒤로 더 가면 5更(03시~05시)입니다.
子時(자시) 23~01시 (3更) 丑時(축시) 01~03시 (4更) 寅時(인시) 03~05시 (5更) 卯時(묘시) 05~07시 辰時(진시) 07~09시 巳時(사시) 09~11시 午時(오시) 11~13시 未時(미시) 13~15시 申時(신시) 15~17시 酉時(유시) 17~19시
戌時(술시) 19~21시 (1更) 亥時(해시) 21~23시 (2更) 입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