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역사) 이야기

이곳은 정씨의 도읍지니라.(태조 이성계의 비화 (3))

by 까망잉크 2014. 3. 12.

傳說과 野談

 

태조 이성계의 비화 (3)

 

이곳은 정씨의 도읍지니라.

 

 

조선을 개국하여 태조(太祖)가 된 이성계는 중엄하고 위세당당한 명실상부한 왕실을 구축하고자, 모든 문무제도를 개폐하고, 그 중에서도 도읍(都邑)을 옮기는 대역사에 착수했다.         

 

태조의 생각으로는 고려도 한때 5백년의 지기(至氣)가 다 쇠퇴했다하여 한양에 남경(南京)을 두어 쇠퇴해 가는 땅의 기운 을 보강한 사실이 있었고 때마침 명나라에서도 북경의 지기가 쇠퇴했다 하여 남경으로 옮기는 대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백발도사가 현몽하기를, "이곳(개성)은 지덕(地德)이 없어 마땅치 않으니 다른 길지(吉地)를 찾아보라" 고 하며 송도(개성)에 흐르는 강물을 모두 마셔버리자, 꿈속에서도 너무 걱정이 큰 나머지, "당신이 강물을 다 마셔버리면 우리 백성들은 어떤 물을 마시란 말이요?" 하고 소리쳤다.

  

그러자. 그 도사는, "송도의 강물이 당신 것이요? 당신 백성들은 다른 강물을 마시면 될 게 아니요?" 하고 오히려 큰소리를 치며 강바닥이 들어 나도록 강물을 모두 마셔버렸다.

  

꿈에서 깬 태조는 무엇인가 꺼림직한 생각에 도읍을 옮기는 계획을 강력히 추진하고 나섰다. 따라서 고려 문종 때 남경(南京)이라 일컫던 한양을 이괄(李括)을 실무책임자로 삼아 궁궐을 보수하는 등 새로운 도읍으로 그 면모를 갖춰가고 있을 때였다.

  

의외로 계룡산(鷄龍山)으로 천도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어 태조는 몇 번이나 계룡산의 산세를 답사한 후, 그 곳을 도읍지로 정하고 기초공사에 착수했다.

  

그러던 어느 날. 피곤하여 잠깐 낮잠을 자고 있는데, 꿈에 산신(山神)이 나타나, "여기는 그대의 도읍지가 아니라 정씨의 도읍지이니라." 하고 사라져 버렸다. 이상하게 생각한 태조는 풍수지리설에 능통한 하륜에게 명하여 계룡산이 도읍지로 타당한지를 신중히 살펴보도록 하였다.

  

그러자. 하륜 역시도 계룡산은 도읍지로 마땅한 곳이 못 되며 무악(母岳:지금의 신촌)이란 곳이 합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많은 대소 신하들이 무악은 도읍지로써 적지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바람에 다른 곳을 물색한 결과 창경궁(昌慶宮)이 개성 다음으로 길지(吉地)란 결론을 얻어 그곳을 도읍지로 확정하여 대역사를 시작했다.

  

창경궁에 건물을 세우고 좌향(坐向:집의 앉는 자리와 바라보는 곳)이 설정되자. 갑론 을박의 구구한 찬반론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자. 무학대사는, "천자(天子)나 군왕(君王)들이 거처하는 궁궐 등은 남명정치(南明政治)라 하여 반드시 북좌(北坐)에 남향(南向)이 되어야 하오." 하고 주장하고 나섰고, 정도전(鄭道傳)은, "서좌(西坐) 동향(東向)을 택해야 하오. 만약 내 말대로 궁궐을 짓지 아니하면 한 2백년 뒤에는 크게 후회하게 될 것이며 내 생각을 하게 될 것이오. 중(무학대사를 지칭)의 말을 듣게 되면 후일에 반드시 대흉사(大凶事)가 있게 될 것이오." 라며 팽팽하게 맞섰다.

  

아무튼 이러한 다툼이 있어서였는지, 아니면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의해서 였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지금의 창경궁의 건물 모양으로 볼 때, 무학대사의 의견과 정도전의 의견을 고루 분배라도 하듯이, 주 건물은 남향 위주이고, 대문은 동향 위주로 하여 독특한 건축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밖에도 한양 전체를 비둘기 형상으로 봐서 사대문(四大門)을 지었다거나, 오행상 불산(火山)이라 하여 관악산(冠岳山) 정상봉에 한우물(天井池)이란 연못을 파두었다던가 해태상을 만들어 강한 화기(火氣)에 해당하는 문의 현판을 가로로 썼다던가 하는 것 등은 모두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윤회법칙에 의해 구성 제작된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