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운동의 배경
(1) 민족 내부의 응집력 강화
① 개항기 : 통합된 민족 역량의 미발휘,
계층간의 이해 대립 지속
② 국권 침탈 이후 :
독립 의지의 강화,
민족 내부의 이해 대립 극복 → 민족의 응집력 강화
(2) 민족 독립 운동의 계속
(3) 거족적 독립 운동의 기반 조성
3.1운동의 원인
①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
②월슨의 민족 자결주의 제창
③유학생들의 2.8 독립선언
3.1운동의 과정
①1919년 3월 1일 태화관에서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
②서울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
③전국적 확산
④국외에서의 만세 운동
3.1운동의 결과
①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②자유&평등사상&민주주의사상&애국애족정신의 강화
3.1운동의 의의
①자주 독립 국가임을 선포
②우리 민족의 강력한 자주 독립 의지를 표출
③다른 나라에서 한국 독립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됨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손병희-권동진-오세창-임예환-나인협-홍기조-박준승-양한묵-권병덕-김완규-나용환-이종훈-홍병기-최린-이승훈-박희도-이갑성-오화영-이필주-김창준-신석구-박동완-신홍식-양전백-이명룡-길선주-유여대-김병조-정춘수-한용운-백용성-이종일-최성모
출처 : 장승진의 블로그
글쓴이 : 장승진 원글보기
메모 :
'옛(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 선언문 (0) | 2018.03.02 |
---|---|
3.1 독립운동 (0) | 2018.03.02 |
[스크랩] 조선왕조는 500년동안 기록유산을 남겼다 (0) | 2018.02.27 |
[스크랩] 태극기의 변천사 (0) | 2018.02.15 |
[스크랩]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0) | 2018.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