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드라마 <주몽>,
<태왕사신기>, < 대조영> 등 고구려 사극을 보면
고구려의 국조로 '삼족오(三足烏)'가 등장한다.
![까마귀는 부모를 섬길줄 아는 유일한새](https://search2.kakaocdn.net/argon/0x200_85_hr/IwPGF813P5T)
이는 세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지.인(天地人)의 삼신 사상을
나타내고 환인.환웅. 단군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까마귀는 부모를 섬길줄 아는 유일한새](https://search2.kakaocdn.net/argon/0x200_85_hr/AdD7t36hQZp)
고구려 벽화에서도 삼족오 문양을 볼 수 있듯이,
우리 민족은 까마귀를 하늘과 인간을 연결시켜 주는
사자로 여겼으며,
![[도전250-36] 현명한 까마귀는 목마르는 법이 없다 - 창의성과 혁신을 위한 경영 전략!](https://search1.kakaocdn.net/argon/0x200_85_hr/Fm3cdDDJPT6)
견우.직녀와 관련된 칠월칠석 설화에서도 까마귀는
까치와 함께 오작교를 만들어
그들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오비이락(烏飛梨落)의 교훈](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7q2tfNgEtBz)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도 까마귀의 위상은
나쁘지 않으며, 서양에서는 지금도 까마귀에게
왕권을 상징하는 Crow라는 이름을 붙여 사용하고 있다.
![까마귀(Carrion Crow)](https://search3.kakaocdn.net/argon/0x200_85_hr/KVUy86OoBB0)
그랬던 까마귀가 한국에서 흉조로 오인되어
전해지게 된 것은 중국과 일본의 영향 때문이었다.
과거 고구려를 두려워했던 한족들이 고구려의
상징이었던 삼족오를 의도적으로 깎아내렸고,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오비이락(烏飛梨落)](https://search3.kakaocdn.net/argon/0x200_85_hr/ICH98JfVEOg)
일본제국주의가 까마귀는 흉조라는
엉터리 소문을 퍼뜨렸기 때문이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다](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5zIInFTtHnP)
까마귀는 새 중 유일하게 늙은 부모를 섬기는
효심 깊은 새이다. 자식이 성장한 뒤 어버이께서 길러주신
은혜에 보답한다는 효심(孝心)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인
![복면가왕 가왕후보 결정전) 네가 가라 하와이 VS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오비이락](https://search3.kakaocdn.net/argon/0x200_85_hr/LSr0sV6WULq)
반포지효(反哺之孝)는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사냥할 힘이 없어진 늙은 부모 새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인다”는 뜻을 담고 있는 말이다.
![까마귀 소년](https://search2.kakaocdn.net/argon/0x200_85_hr/DLlf0sLSRN)
그만큼 까마귀는 효성이 지극한 새이고,
무리 안에서 많은 경험이 많은 나이 든 까마귀를 섬기는
습성을 갖고 있는 새이다.
![까마귀 소년 - 담담하게 그려낸 슬픈이야기하나](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99XLrg3fDlb)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새들 중에서 IQ가 가장 높은 것도 '까마귀'이다.
영장류에 속하는 침팬지와 비슷한 수준으로,
조류인 까마귀는 도구를 만들어
사용할 줄 아는 놀라운 지능 수준을 갖추고 있다.
![까마귀 소년_야시마 타로](https://search3.kakaocdn.net/argon/0x200_85_hr/1FoQnfIvaXK)
보통 머리 나쁜 사람들을 두고
‘새 대가리’라는 농담을 하곤 하는데,
지능이 높은 까마귀는 대체로 머리 나쁜
조류와는 달리 아주 똑똑한 새이다.
![아름다운 그림과 내용이 돋보이는 그림책, 무지개 까마귀](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G4jVyjBT5rl)
서양 학자들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문명을
이룬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메르는 환국 이래로
단군조선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밀접한
관계로 조공을 바치고 사신을 교류했었다고 적혀있다.
![>중력<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BF6Gqfc4Gkr)
그들 사이에선 원래 비둘기가 아닌 까마귀가
평화의 상징이었으나, 히브리인들이 까마귀가
육식을 한다는 이유로 비둘기로 대체했다고 한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다](https://search2.kakaocdn.net/argon/0x200_85_hr/L9RRHjjdpMB)
육식을 하긴 하지만
주로 인간에게 해로운 해충을 주식으로 삼고 있어
까마귀는 인간에게 유익한 새이다.
즉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새인 것이다.
![까마귀는 부모를 섬길줄 아는 유일한새](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D7xcwVtigHZ)
국조 삼족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 선조들 사이에서 까마귀는 원래
진귀한 존재였으며 경외의 대상이었다.
![까마귀는 부모를 섬길줄 아는 유일한새](https://search4.kakaocdn.net/argon/0x200_85_hr/ATlTWLgD4SN)
고구려뿐만 아니라 단군 조선이나 북부여에서도
신성한 의미를 가진 존재로 숭상되었다.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보건데, 서양의 고대 문명권에서
인식되어진 것처럼 우리 한민족 사이에서도 까마귀에
대한 주된 이미지는 흉조(凶鳥)가 아닌 길조(吉鳥)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