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RcyXQ/btrmKkYsA8E/eeAs6DlXRMM9LeMlE2PwJ1/img.png)
불도저에 추억마저 밀릴쏘냐…현대사 굴곡 닮은 만리동 고개여
입력 :2020-07-06 17:28ㅣ 수정 : 2020-07-07 02:09
[2020 서울미래유산 그랜드투어] <6> 마포~서소문 잇는 만리동
![](https://blog.kakaocdn.net/dn/dbEXWf/btrmLOxOIQy/ykZRjQWGG0j61uxPdUvaQK/img.jpg)
▲ 만리동고개 가파른 계단 아래로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사람들은 편안하고 깨끗한 주거환경을 얻었지만 사람 냄새 나는 동네는 사라져 간다.
서울역 서쪽의 만리재 언덕도 지난 10여년 동안 상전벽해의 변화를 겪었다. 지도에서 서울역과 충정로역, 애오개역을 이어 줄을 그으면 거의 정삼각형이 되는 지역이다.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정면으로 맞선 사대주의 학자 최만리가 나고 자란 곳이다. 만리재라는 이름도 최만리에서 나온 것이다. 재개발 바람은 서민의 애환이 구석구석 녹아 진한 여운을 풍기던 동네 분위기를 바꿔 버렸다. 언제 적 만리재를 말하느냐는 듯 시가 10억원이 넘는 번듯한 아파트들이 군데군데 치솟아 있다.
“만리동 고갯마루에 소의초등학교가 있었다. 교문 옆에 아이스케키 통을 놓고 그 위에 걸터앉아 ‘두 개 시-버-언!’ 하고 소리를 질렀다. … 아이스케키 통을 둘러메고는 만리동 고개를 내려와 서울역광장을 돌아 남대문을 거쳐 명동까지 갔다가 다시 발길을 돌려 만리동 고개로 되돌아오곤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Mby0B/btrmK0lg0qJ/tB8b2iOzPmk83eoBiK7Ka0/img.jpg)
▲ 양정고 자리였던 손기정체육공원. 안에는 손기정기념관과 남승룡 러닝센터, 손기정 동상과 그가 머리에 썼던 월계관(대왕참나무)이 자란 거목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Ki8do/btrmQ3HNukk/FardlQi4JKPuyZbRjKst3k/img.jpg)
▲ 만리배수지공원 아래 환일고등학교의 십자관은 돌로 축대를 쌓듯 십자 모양으로 지은 건물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MQxHR/btrmKlpAzZb/IgQvCxUG67cX8fLLwDQQ0K/img.jpg)
▲ 도시재생의 옷을 갈아입고 있는 성요셉아파트.
중림동 일대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됨에 따라 이 아파트는 보존하기로 결정돼 안팎의 환경을 조금씩 개선하는 중이다. 동네를 칙칙하게 만든 주범이었던 아파트 바로 앞 무허가 창고를 ‘앵커시설’로 재개발, 지난 5월 16일 문을 열었다. 2층짜리 건물에는 ‘심야살롱’, ‘도시서점’이 입주해 도시재생사업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한다. 하지만 보존에 반대하는 일부 주민은 탐방객들에게마저 싸늘한 반응을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dca0HH/btrmSwCvlow/i2GkDKEKA08qB3T3QGH7Wk/img.jpg)
▲ 약을 재배하던 밭이 있던 곳에 세워진 약현성당.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성당이자 고딕 양식 건물인 약현성당이 1998년 취객의 방화로 전소됐을 때 숭례문 화재만큼이나 충격적인 소식이었다. 당시 모습은 잃었지만 15억원을 들여 원형에 더 가깝게 복원됐다. 잘 꾸며진 정원을 갖춘 약현성당은 결혼식장으로도 사랑을 받고 드라마 촬영장으로도 애용되는 명소가 됐다. 서학(西學)을 믿었다는 혐의로 신유박해와 병인박해 당시 서소문 밖에서 처형된 98위의 순교자를 모신 성당 내 서소문순교자기념관은 방문객들의 옷깃을 여미게 한다.
만리재는 마라토너 손기정의 기억을 되살려 주는 곳이기도 하다. 소년은 초등학교 6학년 때 5000m 경기에서 어른들을 제치고 우승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압록강 건너 중국 회사에 20리 길을 매일 뛰어서 다녔던 소년은 마라톤 특기생으로 양정고보에 입학했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 시상식에서 은메달을 딴 선수는 활짝 웃고 있었지만 금메달 손기정과 동메달 남승룡의 얼굴에는 웃음기가 없었다. 일본 대표로 출전한 설움이 앞섰던 까닭이다. 시상식 사진을 보면 손기정은 가슴의 일장기를 나무 화분으로 가리고 있다. 시상식장에선 애국가가 아닌 일본 기미가요가 연주됐다. 손기정은 인터뷰나 축하 인사 때마다 ‘손긔정’이라는 한글 사인을 해주고 간단한 한국 지도나 ‘KOREAN’을 그리거나 써줘 한국인임을 알렸다.
![](https://blog.kakaocdn.net/dn/bpIdt7/btrmQrvjd5R/z2TzfpgKYFhbuejFJ7d4nK/img.jpg)
▲ 성 니콜라스 대성당 앞에서 주임신부와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손기정기념관의 바로 위에는 1895년에 문을 연 봉래초등학교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서울 교동초등학교보다 1년 뒤지는 유서 깊은 학교다. 만리재 고개 정상의 짙푸른 녹음은 과거에 이곳이 제법 깊은 산속이었음을 알려 준다. 잘 조성한 산책로는 여름의 열기를 이겨 내기에 모자람이 없다. 힘들여 멀리 갈 것도 없이 주민들은 시원한 자연 바람을 만끽하고 있다. 산책로들이 휘감은 고개 정상이 식수를 공급하는 저장고라는 사실은 주민들도 다 모를 것 같다. 1956년에 조성해 출입금지 지역으로 관리하던 곳을 철조망을 걷어 내고 ‘만리배수지공원’이라는 휴식과 운동 공간으로 탈바꿈시켰으니 행정의 힘이란 이런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6EjZo/btrmK8XxWUy/golpTNY2NSjEVg9FqgVT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8WyGx/btrmRaGO3yT/n7yXXNEdka5E6TkvLYAZLK/img.jpg)
소의초등학교에서 애오개역으로 내려가다 보면 왼쪽에 한국정교회 서울 성니콜라스대성당이라는 숨은 장소를 발견할 수 있다. 정교회는 동유럽에서 발전한 기독교의 한 교파다. 우리나라 신도는 3000여명쯤 되고 전국에 6개의 성당이 있다. 교세가 약한 것은 민족의 비극과 무관하지 않다. 1900년 최초 전래된 정교회는 러시아가 러일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신부와 신도들이 떠났고, 몇 안 되는 국내 신자들은 고아처럼 남겨졌다. 1906년 러시아 선교사가 다시 도착했지만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정교회는 심한 박해를 받게 됐다.
이후 고립무원의 상태로 일제강점기를 넘긴 정교회는 유엔군 참전국의 일원인 그리스군 종군 사제의 도움으로 기적적으로 교회를 재건했다. 아현동에 부지를 마련해 대성당을 완공한 것은 1968년이었다. 반구형 돔을 얹은 비잔틴풍 건축물은 조창한 전 경희대 교수가 설계한 것으로 국내에 두 개밖에 없다. 독특한 돔 지붕을 보고 산동네 아이들은 ‘대머리교회’라고 불렀다고 한다. 아현4구역 재개발구역 안에 있는 성당은 옮겨질 뻔한 위기를 넘겼다.
만리재의 추억은 개발의 압력 속에서 연기처럼 사라졌다. 덕분에 사람들은 편안하고 깨끗한 주거 환경을 얻었다. 그러나 그것과 맞바꾼 것은 사람 냄새가 나지 않는 삭막함이므로 마냥 달갑지만은 않다. 군데군데 박힌 지난 시간의 흔적은 아련하기만 하다. 박제해 둘 수도 없었던 그때는 멀리서 무심히 흐르는 한강만이 기억할 것이다.
글 손성진 서울신문 논설고문 sonsj@seoul.co.kr
사진 김학영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위원
'옛것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광산촌 (0) | 2021.12.05 |
---|---|
老鋪기행 #2 (0) | 2021.12.03 |
전국 老鋪 기행 #1 (0) | 2021.11.30 |
KAL858기 폭파 사건 (0) | 2021.11.29 |
궁녀들의 직장생활③ (0) | 2021.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