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저녁 개기월식에서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린 달이 붉게 보인다. 왼쪽 아래 천왕성이 보인다.
8일 저녁 동쪽 하늘에서 떠오른 보름달의 모양이 금새 변하기 시작했다. 둥글던 보름달 면적이 줄어들기 시작한 것이다. 미국의 ‘애플’처럼 달 한쪽 부분이 둥글게 파여나갔다. 저녁 6시 10분경부터 시작된 개기월식은 7시 10분이 넘어서자 남아있던 초승달 모양도 완전히 사라졌다.
8일 오후 제주시 서쪽 하늘 위로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에 놓이며 달이 지구 그림자로 들어가는 현상인 ‘개기월식’이 펼쳐지고 있다. 뉴시스
지구의 그림자에 다 가려졌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붉은기가 보였다. 다만, 서울의 하늘이 미세먼지 때문에 흐릿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M3K3S/btrQYOA8LhC/3w52ZXp8BcKzeffIlI7vbK/img.jpg)
국립과천과학관에 따르면 개기월식이 진행될 때 달의 색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이 지구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빛은 산란되고 붉은빛만 통과하여 달을 비추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gfELs/btrQYXrawI4/yKQG2dy7Vor24eZl7szRyK/img.jpg)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를 통과하면서 일어나며 평균 6개월에 한 번 정도 발생한다. 지구 그림자로 완전히 들어가면 개기월식, 지구 그림자를 스치듯 통과하면 부분월식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BFmra/btrQYP07wky/uE0fWIff8tGMsFzcMpyGG0/img.jpg)
개기월식은 지난해 5월 26일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며 달이 천왕성을 가리는 천왕성 엄폐의 경우 2015년 1월 25일 이후 약 7년 반 만이다. 다음 개기월식은 3년 후인 2025년 9월 8일이고, 천왕성 엄폐는 2068년 2월 27일까지 기다려야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향후 200년 안에 두 천문현상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8일 저녁 동쪽 하늘 위로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에 놓이며 달이 지구 그림자로 들어가는 현상인 ‘개기월식’이 펼쳐졌다. 갤럭시 22 울트라로 촬영한 사진.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동아일보
'사진으로 보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계천 옆 사진관]금주의 나라 카타르에서 마시는 맥주 맛은? (0) | 2022.11.21 |
---|---|
[청계천 옆 사진관]마스크 쓴 손흥민 “생각보다 편해…스프린트 문제 없었다” (4) | 2022.11.20 |
[청계천 옆 사진관]특전사 헬기에서 낙하해 2m 원안에 들어가야 한다! (0) | 2022.11.09 |
[청계천 옆 사진관]‘죽음의 백조’ B-1B 한반도 출격…F-35A와 훈련 실시 (0) | 2022.11.06 |
[청계천 옆 사진관]‘죽음의 백조’ B-1B 한반도 출격…F-35A와 훈련 실시 (0)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