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러 저런 아야기

우리들에 명절...추석

by 까망잉크 2008. 9. 11.

추석/

      우리들의 명절,음력 8월15일

  

 

 

 

중추절(中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라고도 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유래는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했으며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儒理王) 때 6부(六部)의 여자들을 둘로 편을 나누어 두 왕녀가 여자들을 거느리고

7월 기망부터 매일 뜰에 모여 밤늦도록 베를 짜게 했다.

8월 보름이 되면 그동안의 성적을 가려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했다.

이때 〈회소곡 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라고 불렀다.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쇠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으로 선대 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이 있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 한다.

조상 상에 바치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하여 먼저 조상에게 선보이며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한다.

성주·터주·조상단지 같은 집안신들도 햇곡식으로 천신(薦新)하며 추석치성을 올린다.

추석에는 정월 대보름보다는 작지만 풍성한 민속놀이도 행해졌다. 씨름·소놀이·거북놀이·줄다리기 등을 즐긴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제주도 풍속에는 조리희(照里戱)라 부르는 줄다리기, 그네, 닭잡는 놀이인 포계지희(捕鷄之戱) 같은 놀이가 있다. 수확철이라 다양한 음식이 선보이며 추절시식(秋節時食)이라 하여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며 무나 호박을 넣은 시루떡도 만든다.

찹쌀가루를 쪄서 찧어 떡을 만들고 콩가루나 깨를 묻힌 인병(引餠),

찹쌀가루를 쪄서 꿀을 섞어 계란처럼 만든 율단자(栗團子)도 만들어 먹었다.

반보기의 풍습도 있었는데, 반보기란 시집간 여자가 친정에 가기 어려워, 친정부모가 추석 전후로 사람을 보내

만날 장소·시간을 약속하여 시집과 친정 중간쯤에서 만나는 것이다.

지금은 이 풍습이 없어졌지만 추석 뒤에 음식을 장만하여 친정에 가서 놀다 오게 한다.

추석은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의 고유한 명절로 자리잡고 있어, 추석이 되면 많은 사람이 고향을 찾아간다.

북한에서는 추석을 쇠지 않았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공휴일로 정했다.

 

   
 

 

<추석 이야기>

 

추석에는 시절에 맞는 여러 음식이 있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설날의 제찬과 별 차이는 없으나, 다만 추수의 계절이라 햇곡식으로 밥, 떡, 술을 만든다. 

철이 이르면 추석 차례에 햇곡식을 쓸 수가 있고, 철이 늦으면 덜 익은 벼를 베어서 찧은 다음 말렸다가

방아를 찧어서 햅쌀을 만들어 쓴다.
철이 늦은 해에는 미리 밭벼를 심었다가 제미(祭米)로 쓰는 일도 있다. 어떻든 추석 차례에 대비해서 농사를 짓는다.

햅쌀로 밥을 지으면 맛이 새롭고 기름기가 있으며 떡도 맛이 있다. 추석떡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가 없다.

올벼로 만든 송편이라 해서 올벼송편이라는 말이 생겼다. 송편 속에도 콩, 팥, 밤, 대추 등을 넣는데, 모두 햇것으로 한다.
모두 햇곡식이기 때문에 더욱 맛이 있다.
열나흗날 저녁 밝은 달을 보면서 가족들이 모여 송편을 만드는데,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예쁜 배우자를 만나게 되고,

잘못 만들면 못생긴 배우자를 만나게 된다고 해서 처녀, 총각들은 예쁘게 만들려고 솜씨를 보인다.

또, 태중인 부인이 태아가 아들인지 딸인지 궁금할 때에는 송편 속에 바늘이나 솔잎을 가로넣고 찐 다음 한 쪽을 깨물어서 바늘의 귀쪽이나 솔잎의 붙은 곳을 깨물면 딸을 낳고 바늘의 뾰족한 곳이나 솔잎의 끝쪽을 깨물면 아들을 낳을 징조라고 점을 치는 일도 있다.
제사를 지내려면 술이 꼭 있어야 하는데, 추석 술은 백주(白酒)라고 하여 햅쌀로 빚기 때문에 신도주(新稻酒)라 이름하였다.

술을 많이 준비하여야만 이웃 사이에 서로 청하여 나누어 마시고, 소놀이패, 거북놀이패들이 찾아왔을 때 일행을 후하게

대접할 수가 있다. 남성의 접빈객은 첫째가 술인 만큼 술을 넉넉히 마련한다.

추석 때면 풍년도 짐작되기 때문에 인심이 후해서 술대접을 서로 하게 된다. 추석에는 황계(黃鷄)를 빼놓을 수가 없다.

봄에 깬 병아리를 기르면 추석 때에는 성숙해서 잡아먹기에 알맞아서. 명절에 맞추어 길렀다가 추석에 잡아서 쓰게 된다.
또 옛날에는 명절에 어른에게 선사하는 데 닭을 많이 썼다. 친정에 근친하는 딸이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가지고 갔으며,

경사가 있을 때에도 닭을 선사하였으며, 반가운 손님이 찾아오면 손쉬운 닭을 잡아 대접하였다.

사위가 오면 장모가 씨암탉을 잡아 대접하는 것이 그 예이다. 추석에 백주와 황계는 좋은 술과 안주였다.
가을 과일로는 감^밤^대추^호두^은행^모과 등이 전래의 것이고, 요즈음에는 사과와 배가 첨가되었다.

밤^대추^곶감은 제물로 필수이어서 가을에 알밤을 말려 두었다가 쓴다. 추석 때의 풋밤은 제상에도 오르거니와 밥과 송편에도 넣고

단자(團子)를 만들기도 한다. 대추는 감미가 있어 여러모로 쓰였고 약식에도 넣었으며 약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호두^은행은 값이 비싸므로 두었다가 상원날 부럼에 쓰기도 한다. 모과는 약으로 쓰거나 차로 쓰이고, 술로 담그기도 한다.

녹두나물과 토란국도 미각을 돋우는 절식(節食)의 일종이다. 녹두나물은 소양(消陽)한다고 하지만 잔치상에 잘 오르고,

토란은 몸을 보한다고 해서 즐긴다. .
추석 때면 농가도 잠시 한가하고 인심도 풍부한 때이므로 며느리에게 말미를 주어 친정에 근친을 가게 한다.

떡을 하고 술병을 들고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들고 친정에 근친을 가서 혈육과 회포를 푸는 기회를 가진다.

전라남도 강진지방에서는 한 마을의 부녀자들이 집단으로 음식을 마련하여 경치좋은 곳에 가서 하루를 놀고 즐기는 것을

반보기라 부르기도 한다.

 

출처:다움백과,신지식. 

* 천신(薦新):새로 나는 물건을 먼저 신에게 올리는 일.

 

[추석의 세시풍속 및 음식]

세시풍속 

ㆍ벌초·성묘·차례
ㆍ반보기(시집간 여자가 친정어머니 등 평소 보고싶었던 사람들과 중로(中路)에서 만나 회포를 푸는 풍속)
ㆍ올게심니(잘 익은 벼, 조, 수수의 이삭을 묶어 기둥 및 대문 위에 걸어두어 풍년을 기원)
ㆍ놀이 : 강강수월래, 씨름, 소놀이, 거북놀이, 원놀이, 가마싸움

음식 

ㆍ송편, 황계, 녹두나물, 토란국, 백주(白酒)

 

 



'이러 저런 아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두 달의 우리말 이름  (0) 2008.09.22
바다는 왜 파랄까?  (0) 2008.09.12
뚜껑을 닫고 물을 내려야 한다.  (0) 2008.09.10
엉덩이와 궁둥이  (0) 2008.09.02
복에는 다섯 등급이 있으니  (0) 2008.08.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