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4대문과 4소문 -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도읍을 정한 한양에는
4개의 대문과 4개의 소문(小門)이 있었다.
4개의 대문은 유교의 오상(五常)인
인의예지신(仁義禮知信)에 의해,
서쪽에 돈의문(敦義門),
남쪽에 숭례문(崇禮門),
북쪽에 숙정문(肅靖門)을 두었다.
그리고 중앙에 해당되는 곳에
보신각(普信閣)을 두어 도읍의 기본을 갖췄다.
<한양 도성의 4대문과 4소문의 위치>
4 대문
1, 흥인지문(興仁之門)
한양 도성의 동대문이다.
인(仁)은 동쪽에 해당되므로
문의 이름에 '인(仁)'이 붙었다.
돈의문(敦義門)은
한양 도성의 남대문이다.
숭례문의 이름에 들어있는
몇년 뒤인 광해군시대 어느날 밤,
일제가 과거 임진왜란 때 고니시 군이
옛 한양의 대문 중에서도 남대문인 숭례문이
도성의 북대문인 숙정문,
음기가 강한 북쪽에 있다고 해서
항상 닫아 두었다고 전한다.
숙정문도 많은 사연을 가진 문이었다.
태조 4년(1395)에 처음 건립되었으나
태종 13년(1413)에 최양선이 주장한
'백악산 동령과 서령은 경복궁의 양팔에 해당하므로
여기에 문을 내어서는 안되다'는 의견에따라
창의문(자하문)과 함께 폐쇄하고
길에 소나무를 심어 사람들의 통행을 금하였다고 한다.
원래 이 문은 높은 산 중턱에 있어
길이 매우 험하며 문을 나서면
북한산이 앞을 가로막아
성북동 쪽 골짜기로 내려와 동소문(혜화문) 밖
경원가도로 나오는 길 이외에는
다른 길이 없어 서울에 들어오는 데에는
동소문(혜화문)을 거치는 것이
더욱 빠르고 편리하므로
이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이 문을 폐쇄하여도
아무런 지장이 없어서 영구히 닫아두었다.
다만 가뭄이 심할 때에 이 문을 열고
숭례문을 닫는 풍속이 있었다.
이것은 북은 음이고 남은 양인 까닭에
가뭄 때 양을 억제하고 음을 돋우는
음양오행사상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숙정문을 열어놓으면
장안의 여자가 음란해지므로
항상 문을 닫았다는 속설도 전하는데,
그것은 숙청문이 여자의 방위인
북쪽에 있기 때문이다.
(북쪽은 음의 기운이 강한 곳이다.)
숙정문은 다른 대문들과는
규모 면에 있어 그 크기가 현저히 작다.
항상 닫혀 있어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숙정문을 대신하여 창의문을
북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1976년 대통령의 명으로 북악산 일대의
성곽을 복원할 때 함께 복원되었다.
4소문
1), 혜화문(惠化門)
한양 도성의 동소문이다.
본래의 이름은 '홍화문(弘化門)'이었다고 하는데,
창경궁이 세워지면서 동문의
이름을 '홍화문(弘化門)'이라고 짓는 바람에
중종 6년(1511)에 혜화문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고 한다.
- 도성의 동소문이었던 혜화문,
1970년대 후반에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북대문인 숙정문이 항상 닫혀 있다보니
동소문인 혜화문이 북대문의 역할까지 맡아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던 문이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인 1928년에
도시 계획이라는 명목 아래
헐려 없어진 것을 1970년대 후반,
서울 도성 복원 사업 때 다시 복원되었다.
2), 광희문
한양 도성의 남소문이다.
수구문(水口門)이라고도 불렀으며,
도성에서 죽은 사람들의 운구 행렬이
이 문을 통해 성 밖으로 나갔다고 해서
시구문(屍柩門)이라고도 불렀다.
- 한양 도성의 남소문이었던 광희문,
사방으로 길이 뻗친 길
한가운데에 서 있어 애처롭다.-
1915년에 자연 붕괴되어
아래 부분의 석물 부분만 남아있었는데,
1970년대 후반 현재와 같이 복원 되었다.
3), 소의문(昭義門)
한양 도성의 서소문이다.
소덕문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지금의 서소문동
큰 길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신을 성 밖으로 운반하던
통로로 사용되었고,
궁궐에서 죄를 지은
사람들이 이 문을 통해
도성 밖으로 쫓겨났다고 한다.
1914년 일제의
도시계획에 의해
부근의 성곽과 함께
완전히 철거되었고
지금은 사진을 통해서만
그 모습을 대강 알 수 있을 뿐이다.
4), 창의문(彰義門)
한양 도성의 북소문이다.
고양군, 양주군 방면으로 통하는 문이었으며,
'자하문(紫霞門)'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 한양 도성의 북소문이었던 창의문,
자하문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태종 16년(1416)에
이 길을 통행하면
왕조에 불리하다는
풍수지리설에 의해
문을 닫아 두었다가,
중종 원년(1506)에 다시 열었다고 한다.
인조반정(1623) 때는 세검정에서 모의했던
반정군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안으로 들어가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왕위에 앉혔다고 전한다.
창의문의 서쪽 벽에는
인조반정 때 공을 세운
공신들의 이름을 새긴 현판이 걸려있다.
조선시대 도성 문 내역요약표
구분 |
방위 |
문이름 |
문화 |
위치 |
용도 |
내용 |
4대문 |
동 |
홍인지문(동대문) |
보물1호 |
종로 |
동쪽 관문 |
기가 적어 왜구침입이 잦아 명칭에 산맥의 뜻 지(之)를 넣다고 함 |
서 |
돈의문(서대문) |
|
종로구 |
중국과의 |
일제 때 철거 | |
남 |
숭례문(남대문) |
국보1호 |
남대문로 |
한양의 |
궁궐에 직면한 관악산의 불기운을 막기 위하여 현판을 세로로 썼다함 | |
북 |
숙정문(북대문) |
사적10호 |
삼청동 |
평상시 |
문을 열어놓으면 음기가 침범,풍기문란으로 폐쇄 | |
4소문 |
동북 |
혜화문(동소문) |
성북구 |
양주,포천의 |
일제 때 철거후 | |
동남 |
광화문(수구문) |
중구 |
시신을 성밖으로 내 |
1975년도 복원 | ||
서남 |
소의문(서소문) |
중구 |
일제 때 철거 | |||
서북 |
창의문(자하문) |
종로구 |
북대문 역활 |
1958년 보수 |
'옛것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나라 국보 / 어딜 그리 바삐가고 있는가 ♪ 김영동 - 천년의 침묵 (0) | 2010.05.29 |
---|---|
[스크랩] 다양한 형태의 고전 자물쇠들 (0) | 2010.05.15 |
[스크랩] 옛 자료사진들 (0) | 2010.04.20 |
박효자를 삼년 동안 업어 모신 호랑이다 (0) | 2010.04.18 |
[스크랩] 옛 생활 물건들 (0) | 2010.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