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주청의 사랑방 야화 /홍어 봄바람에 까닥까닥 마르자 천석꾼 부자 최진사는 술 한잔 마실 때마다 홍어를 조금씩 찢어서 초장에 찍어 먹었다. 사랑방을 들락거릴 때마다 홍어를 바라보며 침을 삼켰다. 언년이는 방석만한 홍어를 표나지 않게 조금 찢어서 자기 방으로 가져가 초장에 찍어 먹고는 그 묘한 감칠맛에 정신이 혼미해졌다. 언년이가 뜯어낸 자리에서 다시 조금 더 뜯어먹기를 서너차례. 최진사는 금쪽같은 홍어를 누군가 훔쳐 먹고 있다는 것을 눈치챘다. 건너 상가에 문상하러 집을 나서자 홍어향이 봄바람을 타고 부엌으로 들어와 언년이의 코끝을 간질였다. 초장에 찍어 막 입에 넣으려는데 문이 벌컥 열리며 최진사가 독사 눈으로 언년이를 째려봤다. 머슴·행랑아범 등 남정네들이 보는 앞에서 언년이는 안마당 한복판에 엉덩이를 까고 엎드려 최진사의 싸리 회초리 매타작을 받았다. 엉덩이에서 피가 질질 흘렀다. 그로부터 보름 후 언년이는 찬모 품삯을 받아 최진사 댁을 나와 어디론가 사라졌다. 그날 밤 새 찬모는 언년이가 쓰던 방에서 이불을 펴다가 최진사에게 올리는 밀봉한 편지 한통을 발견, 안방마님을 거쳐 최진사에게 전했다. 언년이가 최진사에게 쓴 편지였다. 갑자기 새파랗게 질리더니 ‘우웩우웩’ 요강까지 갈 사이도 없이 저녁 먹은 걸 방바닥에 다 토했다. 편지 내용은 이랬다. 진사 어른 마시는 머루주 때깔이 더 새빨개졌지요. 내 월경포를 담가놓았으니! 홍어는 맛이 더 좋아졌지요. 오며 가며 내 가래침을 발라놓았으니! 언년이 올림.’ 밥 한숟갈 먹어도 토하고 물 한모금 마셔도 토했다. 용하다는 의원 모두 불러봐도 백약이 무효. 피골이 상접한 최진사는 결국 한달을 못 넘기고 이승을 하직했다
|
'조주청의 사랑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절부인 (0) | 2019.01.20 |
---|---|
새색시 길들이기 (0) | 2019.01.07 |
처녀 뱃사공 (0) | 2018.12.20 |
깨엿, 곰취 그리고 봉선화 (0) | 2018.12.18 |
흥모 (0) | 2018.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