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xkFsw/btrowlsDQ9O/fdhDlKLK3HWcZv60Sn6z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ErgIn/btropsNPcH4/MllYTfhClNFWyDUKc2Mh7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hbgmN/btrotkgLJ8Z/VVulr7hWL3QUxSjS78Jbc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oDNq/btroxktykyI/bAfTIf85Hs3OAslYwKQi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EdNb/btroqR0UvWd/KzChbPRPHRNWRLGJf7Jo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1BYO/btroxjVJAkO/BxnyE4VdjMTJM6c3lgkp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u2fl/btrowkN8rdx/uoiPpcqIkKLJBPzfVKXd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xAgd/btronKBjbtV/lKLiSKc1oATIWfLMS3t1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5uMmr/btrotltjqa1/kM2Q0Z73Cc7LgEHKsNh7Bk/img.jpg)
향원정(香遠亭)은 향원지 가운데 섬 위에 세워진 육각형의 정자로, 누각의 평면은 정육각형이며, 이층의 익공식 기와지붕이다.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1호로 지정되었고, 경복궁 관리소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1867년(고종 4)부터 1873년(고종 10)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생각되는데, 경회루(慶會樓)의 서북쪽 넓은 터에 있는 향원지(香遠池) 안의 작은 동산 위에 있다. 원래 연못의 북쪽에 연못과 정자를 연결하는 취향교(醉香橋)가 있었으나 6·25때 파괴되었고, 지금 남아 있는 남쪽의 다리는 1953년에 가설된 것이다.
정자의 평면은 정육각형으로 아래층과 위층이 똑같은 크기이며, 장대석으로 마무리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으로 된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일·이층을 관통하는 육모기둥을 세웠다. 공포(栱包)는 이층 기둥 위에 짜여지는데, 기둥 윗몸을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기둥 위에 주두(柱枓 : 대접받침)를 놓고 끝이 둥글게 초각(草刻)된 헛첨차를 놓았다. 일출목(一出目)의 행공첨차(行工檐遮 : 외목도리와 장혀를 받치는 첨차)를 받치고, 다시 소로〔小累〕를 두어 외목도리(外目道里) 밑의 장혀〔長舌〕를 받친 몰익공식이다.
일층 평면은 바닥 주위로 평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고, 이층 바닥 주위로는 계자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사방 둘레의 모든 칸에는 완자살창틀을 달았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육모지붕으로, 중앙의 추녀마루들이 모이는 중심점에 절병통(節甁桶 : 지붕마루의 가운데에 세우는 탑 모양의 기와로 된 장식)을 얹어 치장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정자는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육각형 모양의 초석과 평면 그리고 육모지붕 등 육각형의 공간을 구성하여 비례감을 두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가치가 높다.
왕실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던 곳,
향원정이 조선시대
그때 그 당시의 원래 모습을 되찾았다.
지난 24일 경복궁 북쪽 후원에
위치한 2층짜리 정자 향원정이 일반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1873년, 고종이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동양의 전통적 우주관에 따라
사각형으로 연못을 파고
연못 가운데에 둥근 섬을 만들었다.
그 위에 향원정을 세웠다.
문화재청
향원정으로 연못을 건너는
무지개 모양의 흰색 나무다리,
취향교도 만들었다.
향원정은 향기가 멀리 간다는 뜻이고,
취향교는 향기에 취한다는 뜻이었다.
왕과 왕실 가족들이 휴식처로
애용했던 향원정은
북괴 및 중공군 기습남침으로
6·25 전쟁을 거치며
취향교가 파괴당하는 등 수난을 겪었다.
이후 몇 차례 보수를 거쳤지만
모습이 고종이 세웠던 원래 모습과는
전혀 달랐을뿐더러 계속해서 건물이 기울고 뒤틀렸다.
향원정의 기둥을 받치던 돌에서는
균열이 발견됐다.
이에 지난 2017년 문화재청은
향원정 복원 공사를 시작했다.
복원 중이던 2019년에는
향원정 바닥에서
온돌 시설을 발견하기도 했다.
향원정 1층은 온돌이고
2층 바닥은 난방 시설이 없는 마루라는 점이 밝혀졌다.
복원을 시작한 지 4년이 흘러
10월 25일 이날 공개된 향원정은
1873년 건축 당시의 원래 모습이었다.
참조: 대한 민족 문화 대 백과사전,다음 카페. 外
'이런 저런사진·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눈]많이 웃읍시다! (0) | 2021.12.24 |
---|---|
세상에 이런 재미있는 사람들? (0) | 2021.12.22 |
부산타워 1년만에 화려한 부활 (0) | 2021.12.18 |
DMZ 대성동초등학교 (0) | 2021.12.16 |
구름이 빚은 멋진 조각 (0) | 2021.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