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이란?
![](https://blog.kakaocdn.net/dn/qvH7J/btrPTjCWuZp/yKqdIYbW1HUqkdrw6ozOQk/img.jpg)
이태원 ’핼러윈‘을 앞둔 행사 축제에 참여했던
젊은이들이 극심한 혼잡으로 인하여 불행하게도 151명이 압사하고, 82명이 다치는 대참사가 발생하였습니다. 참으로 일어나서는 안 되는 극히 불행한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삼가 젊은 영령에 명복을 비는 바입니다. 이태원에는 매년 ’핼로윈‘ 축제가 열리면서 외국에까지 알려진 국제적 축제입니다. 한편 지금까지 운 좋아 사고 없었던 것뿐’ 지난해도 코로나 통제에도 인파 몰렸다고 합니다. 정부는 국민 안전에 한층 더 촘촘한 대책을 세워 추진해야 합니다. 해서 오늘은 ‘핼러윈(Halloween)’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별)핼러윈(Halloween) -10월 31일 밤에 행하는 서양의 연례행사.- 핼러윈(Halloween)은 매년 10월 31일, 그리스도교 축일인 만성절(萬聖節) 전날 미국 전역에서 다양한 복장을 갖춰 입고 벌이는 축제입니다. ’hallow’란 앵글로색슨어로 ‘성도’를 뜻하며, ‘All Hallows’ Eve(모든 성인의 날 대축일 전야제)’가 줄어서 ‘Halloween’ 이 되었습니다. 본래 ‘핼러윈’은 켈트인의 전통 축제 ‘사윈(Samhain)’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으며. 켈트족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이 되면 음식을 마련해 죽음의 신에게 제의를 올림으로써 죽은 이들의 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았습니다. 이는 죽음의 신 삼하인을 찬양하고 새해와 겨울을 맞는 축제로, 이날 밤에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 그들의 집으로 돌아온다고 믿어 이 축제는 유령·마녀·도깨비·요정 등과 함께 불길한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때 악령들이 해를 끼칠까 두려워한 사람들이 자신을 같은 악령으로 착각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꾸미는 풍습이 있었 는데, 이것이 핼러윈 분장 문화의 원형이 됐습니다.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의 핼러윈은 켈트족의 풍습을 간직하고 있던 스코틀랜드 ·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치르는 소규모 지역 축제였습니다. 그러나 1840년대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1백만 명의 아일랜드인 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핼러윈이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지금은 미국을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핼러윈 데이가 되면 각 가정에서는 호박에 눈· 코· 입을 파서 악마의 얼굴 모습을 새기고 그 안에 초를 고정해놓는‘ 잭오랜턴(Jack O'Lantern)’이라는 등을 만들고, 검은 고양이나 거미같이 핼러윈을 상징하는 여러 장식물로 집을 꾸밉니다. 아이들은 괴물이나 마녀, 유령으로 분장한 채 이웃집을 찾아 다니면서 사탕과 초콜릿 등을 얻는데, 이때 외치는 말, ‘과자 를 안 주면 장난칠 거야!’라는 의미의 ‘트릭 오어 트릿’입니다. 핼러윈의 대표적인 놀이인 트릭 오어 트릿은 중세에 특별한 날이 되면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아이나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 을 나눠주던 풍습에서 기원한 것이다. 이날 학교를 비롯한 곳곳 에서 분장 파티가 열리며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들도 전통적인 주제나 유명인, 영화 주인공으로 분장하고 축제를 즐깁니다. 오늘날 핼러윈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채 너무 상업적으로 변질했다는 인식이 있으나, 켈트인들이 먼저 세상을 떠난 이들 의 평온을 빌고 중세 사람들이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을 베풀던 것처럼 나보다 남을 생각하며 핼러윈을 지내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들은 가까운 이웃을 찾아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전 세계의 아이들을 위해 식품과 의료품을 지원하는 등 뜻깊은 하루를 보냅니다. 또한 핼러윈은 단절된 채 지내던 이웃 사이에 다리를 놔주고 지역의 문화 활동을 활성화하는 지역 축제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방면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축제의 순기능 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무엇보다 핼러윈 데이에는 평소에 죽음이나 불운을 떠올리게 하는 유령, 박쥐와 검은 고양이마저 즐거움의 상징이 되며, 남녀노소 모두가 일상에서 벗어나 즐거운 축제를 만끽합니다. -옮겨 整理한 글 2022.10.30.(일) 카톡(‘雪峯)- |
'이러 저런 아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물상] 기구한 이태원 (0) | 2022.11.02 |
---|---|
길이 2km·100량짜리 세계 최장 열차...알프스서 운행 성공 (2) | 2022.11.01 |
“제 손엔 지문이 없어요” (0) | 2022.10.26 |
유치원생에 ‘이것’만 먹인 태국 원장…징역 385년 (0) | 2022.10.23 |
70년간 지켜온 의리가 방산·화학·금융 3대 축 일군 ‘한화’ 혁신의 원동력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