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 이야기

12간지 이야기 인(寅:.호랑이.범)12/3

by 까망잉크 2008. 6. 2.

 

       
                                                            시베리아 호랑이
 
시베리아 호랑이
             
                                                                      시베리아 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호랑이(虎狼이) 또는 은 고양잇과의 동물이다. 크기는 아종에 따라 다른데, 발리호랑이대개 100 킬로그램 미만이며, 시베리아호랑이는 수컷의 경우 300 킬로그램이 이르기도 한다. 대개 황갈색 몸에 검은색 줄무늬가 나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드물게 흰색을 띈 흰호랑이가 있는데, 이는 백색증과 무관한 열성유전자가 발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를 비롯한 신체의 거의 전 부위가 한의학의 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모피생식기를 얻으려는 인간에 의해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민화속에도 등장할 정도로 많았지만, 일제의 남획으로 멸종되다시피 했다. 호랑이의 먹이는 사슴등의 큰 초식동물로써 생태계의 최우선에 있다. 인도에서는 호랑이로 인한 살상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아직 정확한 이유를 확인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사냥꾼들이 호랑이 가죽을 얻으려고 사냥해서 현재는 멸종되었다.

호랑이(虎狼이) 또는 은 고양잇과의 동물이다. 크기는 아종에 따라 다른데, 발리호랑이대개 100 킬로그램 미만이며, 시베리아호랑이는 수컷의 경우 300 킬로그램이 이르기도 한다. 대개 황갈색 몸에 검은색 줄무늬가 나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드물게 흰색을 띈 흰호랑이가 있는데, 이는 백색증과 무관한 열성유전자가 발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를 비롯한 신체의 거의 전 부위가 한의학의 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모피생식기를 얻으려는 인간에 의해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민화속에도 등장할 정도로 많았지만, 일제의 남획으로 멸종되다시피 했다. 호랑이의 먹이는 사슴등의 큰 초식동물로써 생태계의 최우선에 있다. 인도에서는 호랑이로 인한 살상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아직 정확한 이유를 확인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사냥꾼들이 호랑이 가죽을 얻으려고 사냥해서 현재는 멸종되었다.                                     

                                                                      

 

인(寅)은 음양으로는 양(陽), 오행으로는 목(木)이며, '동방'으로 동물은 범(호랑이)이고 방위는 동북방 시간은 오전 3시부터 5시까지 음력월은 정월(正月)이다. 계절로는 겨울에서 2월이며 서양별자리는 수병좌(水甁座)이다.
민화에 나타난 소나무는 장수, 까치는 기쁨, 범은 보은을 나타내고 있다. 소나무 아래에 산신이 앉아 있고 그 옆에 범(호랑이)이 있는 그림이 산신도(山神圖)이다. 여기서 범은 산신의 심부름꾼이다. 산신은 삼신(三神) 즉 단군을 뜻하고 있다. 용(龍)이 날아가면 구름이 뒤따르고, 호랑이가 질주하면 바람이 따른다고 하는 말도 심오한 의미가 담겨있다. 명당사상(明堂思想)에선 좌청룡, 우백호, 현무, 주작을 배치하여 호랑이를 서쪽에 자리잡게 했다. 서쪽은 늦가을과 관계가 있다. 백호(白虎)는 서쪽과 늦가을을 지키는 방위신이며 그래서 묘역에서 12신상 호석(虎石)이 그것이다.
세계에 퍼져있는 호랑이의 종류는 약 8종으로 백두산 호랑이가 가장 크고 힘이 세다고 한다. 백두산 호랑이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이마에 임금“왕(王)”자 검은 줄무늬가 있어 권위와 위업이 넘치는 발톱 등은 너무나 잘 드러난 한국의 표정과 거동하며, 밝게 빛나는 황갈색의 털, 우람한 발과 강한 기상이다.  임신기간은 100일 내외로 1회에 3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 6개월간 어미젖을 먹고 9개월이 되어야 사냥연습 어미 옆에 1∼2년 머물다 생후 5년이 되어야 성숙된다. 수명은 길게는 40∼50년, 짧게는 25년, 1년에 두 번(3월과 9월) 털갈이를 하는데 약 2주간에 새털로 옷을 갈아입는다. 몸통의 길이가 2m 내외, 꼬리길이가 1m, 어깨높이 약1m, 몸무게 약220㎏ 안팍, 도약할 때 높이 2∼3m, 넓이 7∼8m를 뛰어넘고 물을 좋아해 헤엄도 잘 치며 45도 경사 나무 위를 잘 오르며 그 육중한 몸으로 먹이를 찾아 하루 80∼100㎞를 이동한다. 100m를 5초에 주파하는 전광석화(電光石火)같은 신속성을 지녔으며 질풍노도(疾風怒濤)같은 행동과 탄력으로 멧돼지, 들소, 큰사슴 같은 큰 짐승을 앞발의 일격으로 목뼈를 부러뜨린 다음 아래위턱 어금니로 먹이의 숨통을 단번에 물어 끊는다. 또 약 200㎏ 됨직한 들소를 3∼400m까지 쉽게 끌고 가는 괴력(怪力)을 가지고 있다. 발톱, 이, 포효는 호랑이의 3대 힘이다. 그리고 영하30도의 혹한에서도 사지(四肢)를 뻗고 잠을 자는 무서운 야성, 토끼 한 마리를 잡을 때도 전심전력 일격지하에 끝장을 내는 선전분투(善戰奮鬪)의 정신, 백수의 왕이라고 일컫는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백두산 호랑이의 지혜와 덕과 용기를 겸비한 호랑이의 기상을 우리 한국인의 심연에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범寅] ① 신화 : 단군신화의 범은 곰과 함께 사람이 되고자 원했으나, 조급하여 금기를 지키지 못해 실패했다. 고려 태조의 5대조 '호경이야기'에서 범은 영웅들의 보호자이자 양육자이며 국조(國祖)의 조력자이다. ② 무속(산신, 산신의 심부름꾼) : 범 숭배 신앙은 산악 숭배 사상과 융합되어 범이 산신 또는 산신의 사자를 상징한다. 각 지역에서 신봉하는 산신을 모신 산신당의 산신도에는 범이 그려져 있다. 우리 민족에게는 신수(神獸)로 인식되었다. 그런가 하면 영일 강사리 범굿에서는 범에게 물려 죽은 넋을 위로하고, 호환을 방지하기 위해 쇠머리를 뒷산에 묻는 의식을 치른다. ③ 벽사 : 병귀나 사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범그림, 범호자 부적). ④ 권세 관직 군대의 상징 : 호랑이의 용맹성은 군대를 상징한다(백호, 맹호 부대) ⑤ 보은 : 호랑이는 인간의 효행에 감동하여 인간을 돕거나 인간의 도움을 받으면 은혜를 갚는다. 불교의 산신각 호랑이는 산신의 사자나 산신으로 모셔져 인간의 길흉화복을 관장하고 있다. ⑥ 까치 호랑이 그림 : 가장 흔한 호랑이 그림은 까치 호랑이 그림이다. 여기서 소나무는 장수를, 까치는 기쁨을, 범은 보은을 상징한다.
1. 장점
→ 용감하다. 배짱이 있다. 지도자 자격이 있다. 관대하다. 의리가 있다. 신념가다. 혁신가다. 파워가 있다. 일관성이 있다. 힘이 좋다.
2. 단점
→ 반항적이다. 거칠다. 싸움꾼이다. 사려가 깊지않다. 해를 끼친다. 완고하다. 천박함이 있따. 고집이 세다. 이기적이다.너무 신중하기도 하다. 의심이 많다. 소견이 좁다. 너무 인생이 격렬하다.
3. 직업
→ 갱 두목, 공사장 감독, 대장, 스턴트맨, 국가 원수, 공수 부대원, 투우사 등...

 


참고:다움.위키백과 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