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에게서 얻은 이순신장군의 전략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처음 호남좌수사(湖南左水使)에 제수되었을 때의 일이다. 당시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창궐하는 왜적을 막는 길은 오직 해상(海上)을 방어하는 길밖에 없었으나 충무공은 부임한 지가 일천(日淺)하였으므로 해상의 요충지(要衝地)를 자세히 알지 못하였다.
충무공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날마다 포구(浦구)에 거주하는 백성들을 관청의 마당에 모아놓고 저녁에 들어왔다가 새벽에 나가게 하였는데, 남자들은 신을 삼고 여자들은 길쌈을 하되 자신들이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하도록 내버려 두었으며 밤이면 이들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곤 하였다. 충무공은 편복(便服)차림으로 이들을 친근하게 대하면서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게 하였다. 포구의 백성들이 처음에는 장군을 매우 두려워하여 서먹서먹해 하였으나 오래되자 차츰 익숙해져서 서로 함께 웃고 농담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백성들이 말하는 것은 모두 바다에서 고기를 잡으면서 실제로 경험했던 일과 수로(水路)들에 관한 것이었다.
이들은 말하기를 “어느 항구는 물이 소용돌이쳐서 이곳에 들어가면 반드시 배가 전복되며, 어느 여울에는 물속에 암초가 숨어있어서 이곳을 지나게 되면 반드시 배가 부서진다.” 하였다. 충무공은 이들의 말을 일일이 기록해 두었다가 다음날 아침이면 직접 현지에 가서 지형을 시찰하였으며, 먼 곳인 경우에는 비장(裨將)들을 시켜 가서 살펴보게 하였는데, 과연 그들의 말과 똑같았다. 충무공은 왜적과 싸우게 되면 번번히 선단(船團)을 이끌고 피하면서 왜선(倭船)을 물길이 험한 곳으로 유인하니, 왜선들은 즉시 모두 침몰하였다. 그리하여 힘들게 싸우지 않고도 승리할 수 있었다.
송좌상(宋左相)은 일찍이 문객(門客)들에게 이 이야기를 전해주고 말하기를
“단지 장수만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재상이 되어서도 이와 같이 하여야 한다.” 하였다.
그러나 충무공이 수전(水戰)에 익숙했던 것은 단지 포구 백성들의 말을 들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어영담(魚泳潭)이 여러번 해진(海鎭)의 장수가 되어 물길에 익숙하였는데, 이분이 충무공을 보좌한 것이 매우 많았다. 충무공이 견내량(見乃梁)과 명량(鳴梁) 해협에서 승리한 것은 오로지 지리(地利)를 이용하여 거둔 것이었다.
이상은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이며 문신인 성대중(成大中)의 《청성잡기(靑城雜記)》에 보이는 내용이다. 장군이 현지에 부임하면 그 지방의 지형을 자세히 파악해야 함은 너무나도 당연한 사실이다. 맹자(孟子)는 일찍이 `천시(天時)가 지리(地利)만 못하고 지리가 인화(人和)만 못하다.'고 하였다. 천시란 기상 상태를 말하고, 지리란 천연적인 요새와 견고한 성지(城池) 등의 전쟁에 유리한 지형을 이르며, 인화는 문자 그대로 상하간의 화목과 단결을 의미한다. 맹자의 이 말씀은 각종 병서(兵書)에도 자주 보인다. 충무공이 명량 해협에서 조수(潮水)를 이용하여 왜적을 섬멸한 일은 우리 국민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충무공의 승리는 뛰어난 지략과 수로의 파악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무지한 해안의 어민들을 친근하게 대하면서 음식을 제공하여 인화를 얻음으로써 가능했다고 여겨진다.
옛말에 `백성들은 물과 같아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배를 전복시킬 수도 있다.'고 하였다. 군주를 배에, 백성을 물에 비유하여 백성들은 군주를 떠받들기도 하지만 때로는 정권을 전복시킬 수도 있음을 명시한 격언이다. 또한 `군주는 백성을 하늘처럼 섬겨야 한다〔王者以民爲天〕'하였으며 `민심을 얻으면 천하를 얻는다' 고도 하였다.
지도자의 덕목(德目)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도 겸허한 자세로 인화를 이룩하는 것이 제일이다. 높은 지위에 있는 자가 잘난체하지 않고 아랫사람들을 따뜻하게 대하여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고 그들의 지혜와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는 것이야말로 위정자의 도리요 또한 민주주의의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동안 문민정부를 거쳐 국민의 정부에 이르렀지만 위정자들은 아직도 밑바닥에 있는 국민의 마음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듯하다. 큰 정치는 구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충무공처럼 겸허한 자세와 치밀함, 자기 한 몸의 명예와 이익을 돌보지 않고 오직 국가와 민족을 위하는 충성심이 있어야 한다. 충무공의 위대한 인간상에 다시 한 번 경의를 표한다.
■ 宋左相 : 영조 때 좌의정을 지낸 송인명(宋寅明 1689∼1746)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저 자: 성대중 . 역 자: 성백효
[출처] 백성들은 물과 같아 물은 배를
'옛(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하에 버르장머리 없는 놈 (0) | 2008.11.02 |
---|---|
여덟 가지가 넉넉하다고 지었다네 (0) | 2008.10.28 |
교만이 하늘을..... (0) | 2008.10.19 |
도로 보내라는 행운???? (0) | 2008.10.14 |
종이쪽지에 붙은 우리 집 풀을 주시요 (0) | 2008.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