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듬이질/천을 다듬는 전래방식의 하나
다듬이질
/다듬잇돌과 방망이
옷이나 이불호청 등을 세탁한 후 풀을 먹여 약간 말려 손질한 다음 다듬잇돌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로 두드린다.
풀을 먹여 두드리면 천이 견고해지고 매끄럽게 된다. 골고루 두드리기 위해서는 여러 번 접어가면서 윤이 나도록 다듬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자연섬유 특유의 광택과 촉감을 살릴 수 있다. 다듬잇돌은 옷감을 다듬을 때 밑에 받쳐놓는 돌로 결이 단단하고 매끄러운
돌로 만든다. 중앙부분이 약간 위로 올라와 완만한 곡선을 이룬 장방형으로 윗면은 반드럽게 손질되어 있다.
양쪽 밑으로는 손을 넣어 들 수 있도록 둥그런 홈이 파여 있다. 다듬이 방망이는 박달나무같이 단단한 나무를 깎아서 쓴다.
다듬이질은 우리나라 생활풍습상 매우 운치있는 멋의 하나이다.
흔히 아낙네들은 품앗이로 넓은 대청에 모여 이불 호청을 마주 붙들고 잘 접어 다듬잇돌 위에 올린 후 발로 밟고 올라 다져서 천을 가지런히 해두고 방망이질을 한다.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로 마주보며 두드린다.
깊은 밤 다듬이질 소리가 아련히 들리는 풍치는 예로부터 많은 시인과 묵객(墨客)들의 시에도 등장했다. 당시(唐詩)에도
"바람결에 곳곳에서 다듬잇소리"라 했으니 다듬이질은 예로부터 중국에서도 성했다.
다듬이방법은 풀기가 마르기 전 비틀린 올을 바로 펴서 밟아 홍두깨에 말아서 다듬거나 다듬잇돌에 놓아 다듬어 홍두깨에 감아
다듬이질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도구로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다듬잇방망이와 장방형의 표면이 고운 다듬잇돌, 홍두깨와 이를
고정시키는 홍두깨틀, 옷감을 싸는 보자기와 끈 등이 있다.
다듬이질을 하는 것은 주로 겹옷이나 솜옷·침구류 등이었으므로 늦가을과 겨울철에 밤늦게까지 두 사람이 네 개의 방망이로 음률에 맞추어 옷감을 다듬는 다듬잇소리는 우리 풍속의 일면을 이루기도 하였다.
그러나 합성섬유가 발달하고 옷감의 후처리와 가공법이 발달함에 따라 다듬잇소리가 사라지고 다듬이질한 옷감의 아름다움도
사라지게 되었다.
<朴聖美 글>
![](http://file.dic.daum.net/dic100/brit/files/thumbs/k/k04d010905p4.gif)
![](http://file.dic.daum.net/dic100/brit/files/thumbs/k/k04d010901p4.gif)
![](http://file.dic.daum.net/dic100/brit/files/thumbs/k/k04d010902p4.gif)
![](http://file.dic.daum.net/dic100/brit/files/thumbs/k/k04d010903p4.gif)
![](http://thumb.img.yahoo.co.kr/x=100/y=100/q=85/sig=YujkB_xcs01sWWSCDueFvQ--/*http://msrv.yahoo.co.kr/100/123/s12302800001.jpg)
![](http://thumb.img.yahoo.co.kr/x=100/y=100/q=85/sig=iMBMC7.YAYSDIqeIDRUAyw--/*http://msrv.yahoo.co.kr/100/123/s12302800002.jpg)
출처:다움,엠파스,브리태니커.
'옛것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바위,남바위 (0) | 2009.03.11 |
---|---|
죽부인(竹夫人) (0) | 2009.02.28 |
짚신 (0) | 2009.02.02 |
그 시절 영화포스터 #2 (0) | 2009.01.20 |
그 시절 영화포스터 #1 (0) | 2009.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