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꿰미를 묻어둔 채 이사한 어머니에게
청렴 강직한 호조 아전 김수팽
●공직에 있으면서 부업하는 아우를 꾸짖다
김수팽(金壽彭)은 영조 때 사람인데, 남보다 뛰어나고 절개가 곧아서 옛날의 열사다운 풍모가 있었다. 막강한 호조의 아전이 되었지만, 자신의 행실을 지키며 청렴결백하게 살았다. 아전은 세습직이어서 그의 아우도 일반 서민들의 질병 치료를 담당한 혜민서(惠民署)의 아전이었는데, 살림에 보태기 위해 염색(染色)을 부업으로 했다. 어느날 김수팽이 아우의 집에 들렀더니, 뜨락에 늘어선 항아리마다 물감이 가득 넘쳐 줄줄 흐르고 있었다.
“저게 무엇에 쓰는 것이냐?”하고 묻자, 아우가 대답했다.
“집사람이 물감 들이는 일을 한답니다.”
그가 노해서 항아리를 발로 차며 아우를 꾸짖었다.“우리 형제가 모두 많은 녹봉을 받으면서 사는데 이따위 영업까지 한다면, 저 가난한 사람들은 장차 무슨 일을 하란 말이냐?”
김수팽이 항아리들을 뒤집어 엎자, 푸른 물감이 콸콸 흘러 수채를 메웠다. 공무원이 가족의 명의로 관련 사업을 한다든가, 재벌들이 돈 되는 일이라면 중소기업의 분야까지 넘보며 문어발식 경영을 하는 요즘 세태를 꾸짖는 듯하다.
●목숨을 걸고 윗사람의 잘못을 간하다
실무자인 아전들은 하루 종일 관청에서 일해야 하지만, 책임자인 문관들은 병을 핑계대고 자주 쉬었으며, 집에서 결재를 하기도 했다. 김수팽이 어느날 서류를 결재받으려고 판서의 집으로 찾아갔더니, 판서는 마침 손님과 바둑을 두고 있었다. 김수팽이 결재해 달라고 청했지만, 판서는 머리만 끄덕일 뿐 여전히 바둑만 계속 두었다. 수팽이 섬돌에 뛰어올라가 손으로 바둑판을 쓸어버리고, 뜨락으로 내려와 아뢰었다.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정말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그렇지만 나라 일은 늦출 수가 없으니,(저를 파직시키시고) 다른 아전을 시켜서 결재하시기 바랍니다.”
그러고는 즉시 하직하고 나가 버렸다. 판서가 쫓아와 사과하며 그를 붙들었다.
조선시대에는 민간인의 딸로 궁녀를 충당하는 관례가 있었는데, 수팽의 딸이 거기에 뽑혀 들었다. 딸을 궁녀로 들여보내 권세를 탐내는 사람도 많았지만, 그는 권력과 가까이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백성들이 임금에게 특별히 상소하거나 청원할 일이 있으면 대궐 문 밖에 있는 문루에 올라가 등문고(登聞鼓)를 두드리는 관례가 있었다. 신문고(申聞鼓)라고도 했는데, 의금부 당직청에서 이 북을 주관했으며, 임금이 당사자를 직접 만나서 사연을 듣고 처리하였다. 김수팽이 대궐 문을 밀치고 들어가 등문고를 두들기자, 승정원에서 김수팽의 이야기를 듣고 실정을 파악해 임금에게 아뢰었다. 임금이 “궁녀를 가려뽑는 것은 (왕명을 전달하고 대궐 열쇠를 보관하는) 액정서(掖庭署) 아전의 딸로서 하고, 민간의 딸은 거론치 말라.”고 비답을 내렸다. 이를 명하여 법식이 되었으니, 수팽의 소원을 따른 것이다.
●원칙에 따라 나랏돈을 지키다
그보다 앞서 임금이 내시에게 명해 “호조의 돈 십만 냥을 꺼내오라.”고 명했다. 밤 2시쯤 된 시간이었는데, 마침 수팽이 숙직하고 있었다. 그 시간에는 돈을 지출할 수 없었으므로 거절하고 왕명을 따르지 않았더니, 내시가 욕하며 대들었다. 임금이 보낸 내시와 맞싸울 수는 없었으므로, 수팽은 천천히 걸어 판서의 집으로 갔다. 결재를 받은 뒤에야 돈을 내어 주었더니, 날이 벌써 밝았다. 내시가 늦게 돌아온 사연을 임금이 듣고 기특하게 여겼다. 김수팽의 이름을 처음 듣고, 남다른 은총을 내렸다.
조희룡의 ‘호산외기’에 실린 이 이야기가 몇십년 뒤 장지연의 ‘일사유사(逸士遺事)’에 와선 좀 다르게 기록되었다.
“호조 창고에 은덩이가 있었는데, 봉부동(封不動)이라 불렀다. 몇백년이나 전해 내려오던 것을 아무개가 판서가 되어 ‘어린 딸에게 패물이나 만들어 주겠다.’며 몇 덩이를 훔쳐 가졌다. 수팽이 곁에 있다가 손으로 여러 덩이를 움켜쥐면서 ‘소인은 딸이 다섯이나 됩니다. 그래서 많이 가져갑니다.’라고 말했다. 판서가 계면쩍어하면서 도로 내어놓았다고 한다.”
봉부동(封不動)은 은과 포목을 따로 저장해 봉해 두고, 나라에 비상사태가 일어났을 때에 쓰기 위해 건드리지 않던 것이다. 영조 때에 돈이 12만 2000냥, 은이 11만냥, 포목이 5만 1950필 있었다. 두 이야기 모두 김수팽이 원칙에 따라 나랏돈을 지켜낸 이야기를 소개했는데, 어느쪽이 사실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그렇지만 목숨을 걸고 국고를 지켰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목적을 세우고 적립했던 기금이나 국민연금을 정권의 필요에 의해 마구 가져다 쓰는 현실을 비춰보면, 김수팽같이 신념 있는 공무원이 아쉽기만 하다.
●돈꿰미를 묻어둔 채 이사한 어머니에게 청렴을 배우다
조희룡은 뛰어난 중인 선배 42명의 전기를 지어 ‘호산외기(壺山外記)’라는 제목으로 책을 냈는데, 전기 끝머리에 한두 줄씩 찬(贊)을 덧붙였다. 그런데 김수팽 경우에는 찬을 길게 붙여, 또 하나의 전기적 사실을 전해 주었다.
“그 사람됨을 생각해 보니 마치 바람이 빨리 불어오는 것 같아서, 남들에게 들은 바와 거의 가깝다. 어렸을 때에 집안이 가난했는데, 그 어미가 몸소 불을 때며 밥을 짓다가 부뚜막 밑에 묻혀 있는 돈꿰미를 발견했다. 그 어미는 예전처럼 다시 묻어둔 채로 그 집을 팔아 버렸다. 다른 집으로 이사간 뒤에야 비로소 그 남편에게 말했다.‘갑자기 부자가 되면 상서롭지 못하답니다. 그래서 돈꿰미를 내버렸지요. 그랬지만 이 집으로 오고나니, 돈꿰미를 묻어둔 곳이 아른거리네요.’ 이런 어머니가 아니고서야 이런 아들을 낳을 수 없다.”
출처: 서울신문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에서
글쓴이: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옛(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동네 옛이야기] [1] 중구 다동(茶洞) (0) | 2009.10.01 |
---|---|
9.28서울수복 (0) | 2009.09.29 |
콩 잎은 세 가지 끝에 달리니 세 가지 쌈이요 (0) | 2009.08.31 |
여인의 옷 벗는 소리 (0) | 2009.08.19 |
불효자가 된 효자, 음년이 된 열녀 (0) | 2009.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