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이 자자진 골에 ~ -이색- |
|
[현대어 풀이] |
|
[창작 배경] |
작자는 고려의 충신으로서 쇠퇴해가는 고려의 국운을 바로 잡으려는 뜻을 이루지 못했지만, 조선왕조가 들어서서 작자에게 벼슬을 내렸지만 끝까지 사양하며 지조를 굽히지 않은 선비였다. 이 시조는 고려말 당시에 자꾸만 기울어져가던 고려 왕조에 대한 안타까운 심정을 읊은 작품이다. |
[이해와 감상] |
고려왕조의 국운이 점점 쇠퇴해지고 어두워져만 가는 것을 헤아리고, 그 안타까움을 자연물에 빗대어 형상화 한 작품이다. 초장의 '백설'은 고려왕조의 번성했던 시절 내지는 고려왕조의 충신을, '구름'은 고려왕조가 몰락해 가는 암울한 기운 내지는 새로운 왕조를 이룩하기 위한 신흥 세력들을 나타내고 있다. 중장의 '반가온 매화'는 고려왕조의 국운을 다시금 회복시킬 수 있는 우국지사나 역사적 분위기를 나타낸다. 종장의 '석양'은 스러져가는 고려의 운명을 우의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갈 곳을 몰라 하는 시적 자아의 모습에서 안타까워하는 심정과 갈등하는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작자는 왕조의 마지막인 역사의 전환기를 맞이하는 심정을 자연의 경치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충신과 지사들(백설, 매화)이 몰락하고, 간신들(구름)이 들끓는, 나라가 기울어 가는 이 판국에 몸둘 곳을 몰라 하는 작자의 심정을 읊고 있다. 역사적 전환기에 처한 지식인의 고민을 '석양에 홀로 셔 이셔 갈 곳 몰라 하노라'하는 탄식 속에 묻으면서도 어디선가 나타나 줄 것만 같은 '매화'와 연결시켜 그 정을 더해 주고 있다. * 자자진 → 잦아진, 녹아 없어진 |
[정 리] |
◆ 성격 : 평시조, 단시조, 우국시 ◆ 시적 상황 : 고려 왕조의 국가로서의 운명이 다해가는 상황 ◆ 표현 ① 풍유법 ②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심정을 우의적으로 나타냄. ③ 대조적인 소재(구름-매화)를 사용하여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음. ◆ 주제 : 고려 왕조에 대한 우국충정 ◆ 문학사적 의의 : 국운이 날로 쇠퇘해가는 고려의 현실을 한탄하는 작품으로 역사적 전환기에 직면한 지식인의 고뇌를 잘 표현하고 있음. |
'옛것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양산 바라보며 ~ (0) | 2014.05.30 |
---|---|
선인교 나린 믈이 ~ (0) | 2014.05.21 |
[스크랩] 남대문 방화사건 (0) | 2014.04.10 |
양산시립박물관 개관 1주년 특별전 (0) | 2014.04.09 |
[스크랩] 쵸콜렛보다 더 소중한 우리역사 (0) | 2014.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