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문(獨立門)
대한제국 말기 자주민권과 민족자강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지은 석조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다. 사적 제32호. 높이 14.28m, 너비 11.48m. 중국사신을 접대하던 모화관(慕華館)의 정문인
영은문(迎恩門)을 허물고 그 자리에 세운 것이다. 1896년(건양 1) 미국에서 돌아온 서재필(徐載弼)이 조직한 독립협회 발의로 고종의 동의를 얻어 3,825원을 모금해 1896년 11월 21일 정초식을 거행하고 이듬해 11월 20일 완공했다. 독일 공사관의 스위스인 기사가 설계했으며, 당시 서양건축의 조영경험이 있던 목수 심의석(沈宜碩)이 공사감독을 맡아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해 만들었다. 설계자가 당시
우리나라에서 많은 건물을 설계한 러시아인 사바틴이라는 설도 있다.
45×30㎝ 크기의 화강암 1,850개를 쌓아 만든 이 문은 가운데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虹霓門)이 있고 내부 왼쪽에 옥상으로 통하는 돌층계가 있으며, 꼭대기에는 난간을 둘렀다. 이맛돌 위에 앞뒤로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이라 쓰고 그 좌우에 태극기를 조각한 현판석을 달아놓았다. 프랑스의 개선문을 본떠 만들었지만 쌓는 방법은 우리나라 전통기법을 사용했다. 무지개문 좌우의 받침기둥, 모서리의
귓돌, 꼭대기의 난간만이 서양식을 따르고 있을 뿐이다.
1917년 수리공사를 했으며 1928년 기초가 무너질 위험이 있어 조선총독부에서 공사비 4,000원을 들여 벽체 안쪽을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했다. 1979년 금화터널 공사로 인해 원래 자리에서 70m 떨어진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원래 자리에는 "독립문지 이전일자 1979. 7. 13. 서울특별시장"이라고 새긴 동판이 묻혀 있다. 독립문 앞에 영은문의 석재 초석이 있는데 이는 사적 제33호로
지정되어 있다.
독립문의 뜻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峴底洞)에 있는 돌 문. 1897년 11월 20일에 독립(獨立) 협회(協會)가 각계 각층 국민(國民)의 헌금으로, 한국(韓國)이 청국(淸國)의 기반(羈絆)을 벗어난 것을 기념(記念)할 목적(目的)으로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그 자리에 세웠던 것인 데, 1980년 현재(現在) 자리로 옮겨짐
<출 치> 다음 백과
'옛것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독립문의 의미 ~~ (0) | 2018.03.02 |
---|---|
서대문형무소 (刑務所) (0) | 2018.03.02 |
[스크랩] 와우! 재밌어요, 30~35년전 광고 (0) | 2018.03.01 |
‘1945년 한국’ (0) | 2018.02.25 |
추사 김정희 글씨 (0) | 2018.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