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효령 기자 = 조선시대 대표적 서예가이자 금석학자인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의 글씨 3점이 보물로 지정된다. 20일 문화재청은 "'김정희 필 대팽고회' '김정희 필 차호호공' '김정희 필 침계' 등 추사 김정희의 글씨 3점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사진: '김정희 필 차호호공'. (사진=문화재청 제공)
○··· 추사 김정희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까지의 세도정치 기간동안 문인이자 정치가로 활동했으며 금석문(돌이나 금속에 새긴 그림이나 글씨)의 서예적 가치를 재평가한 추사체를 창안해 한국 서예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김정희 필 대팽고회'는 작가가 세상을 뜬 해인 1856년(철종 7년)에 쓴 만년작이다.
중국 명나라 문인 오종잠의 '중추가연'이라는 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푸짐하게 차린 음식은 두부·오이·생강·나물이고, 성대한 연회는 부부·아들딸·손자라네"라는 글귀를 쓴 것이다. '김정희 필 차호호공'은 "잠시 밝은 달을 불러 세 벗을 이루고, 좋아서 매화와 함께 한 산에 사네"라는 문장을 예서로 쓴 대련(두 폭의 축으로 된 회화나 서예작품) 형식이다.
◇ '김정희 필 침계'는 화면 오른쪽으로 치우쳐 예서로 '침계(梣溪)' 두 글자를 쓰고, 왼쪽에는 행서(약간 흘려 쓴 한자 서체)로 8행에 걸쳐 발문을 썼으며, 두 과의 인장을 찍어 격식을 갖췄다. 침계는 김정희와 교유한 윤정현(1793~1874)의 호이다. △ 사진: '김정희 필 침계'. (사진=문화재청 제공)
'옛것의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와우! 재밌어요, 30~35년전 광고 (0) | 2018.03.01 |
---|---|
‘1945년 한국’ (0) | 2018.02.25 |
[스크랩] 朝鮮의 都邑인 漢陽의 4大門과 4小門 (0) | 2018.02.21 |
경희궁(5/5) (0) | 2016.11.14 |
창덕궁 (5/4) (0) | 2016.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