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 산양과 새끼 산양의 오후… “우리도 북에 가보고 싶어요”
강원 양구 ‘산양·사향노루증식복원센터’사람만 분단된 게 아니었네… 북녘 향해 짝을 부르는 산양들구름 걷힌 여름 산은 푸르렀다. 그 아래 경사진 풀밭에선 산양들이 풀을 뜯고 있었다. 곳곳의 검은 바위 위에도 산양이 망을 보듯 서 있는 게 눈에 띄었다. 해가 막 중천에 떠오른 때라 더위를 참지 못한 산양들은 숲속으로 들어가 쉬고 있었다. 6월 말 강원도 양구 동면 산양·사향노루증식복원센터를 다녀왔다. 산양은 멸종위기에 처해 1968년 천연기념물 제217호로 지정됐다. 산양을 살리기 위해 양구군은 2007년 동면 팔랑리 일대 19만8000㎡를 산양보호구역으로 정하고 산양증식복원센터를 설립했다. 2016년 양구에서 사향노루(천연기념물 제216호)가 최초로 발견되면서 이 동물도 보호·복원 대상으로 추가됐다. 센터의 목적은 산양의 안정적 서식과 보호다. 밀렵 위기에 빠진 산양을 구조해서 보호하고 유전자원 분석을 통해 증식 기술을 연구하며 서식지 등을 집중 모니터링한다. 이곳에선 47마리의 산양이 야생의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자생력을 기르며 보호받고 있다. 지난해 가을 민간
특별한 B컷들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관광공사
인제군 ‘서화리 영화마을’ 신지승 감독주민들이 배우·스태프 역할 … “마을영화, 국제 축제로 거듭났죠”저녁 6시가 넘었지만 여름 해는 길어 여전히 날이 환한 마당으로 마을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기와의 검정과 벽체의 빨강이 영화 세트장 같은 이 집에는 ‘마을극장 DMZ’라는 간판이 붙었다. 이곳 마당에서 지난달 말 ‘끄트머리 마을영화제’가 열려 현장을 찾았다.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 2리, 비무장지대(DMZ)에 가까운 접경지역 동네가 ‘서화리 영화마을’로 불리게 만든 그 집이었다. ‘마을영화’의 산파인 신지승(59) 영화감독이 가족과 사는 살림집이자 복합문화공간이다. 여기를 거점으로 영화를 제작·편집·상영하고 전시회를 열며 레지던시(작가가 머물며 작업할 수 있는 공간)도 운영한다. 행사 시간이 되자 흰색 주름치마로 멋 부린 박부녀(90) 할머니가 가장 먼저 도착했다. 김원용(95) 할머니는 불편한 몸을 빈 유모차에 의지해 들어서며 환히 웃었다. 속속 주민들이 모였다. 조용한 성격의 손도하(89) 할머니, 산불감시원을 지낸 박성열(81) 할아버지, 김 할머니의 사위 이
특별한 B컷들
바다의 민통선’ 조금이라도 북상했으면… 문어잡이 어부의 꿈
54년 경력 경남호 김휘철 선장‘바다의 민통선’ 넘나드는 사람들… 분단의 아픔 묻어나는 삶바다에도 비무장지대(DMZ)가 있다. 바다의 민통선이라 할 수 있는 어로한계선을 넘나들며 고기잡이로 자식 키우고 은행 빚 갚으며 생계를 영위하는 사람들이 있다. 동해안 최북단 대진항 주민들이다. 삼태기 모양의 대진항은 크진 않지만 항구가 품은 바닷속에 섬이 잠겨 있다고 할 정도로 바위가 많아 문어 숭어 광어 해삼 멍게 성게 등 바다 생물에는 천혜의 서식지다. 그래서 대진에는 ‘황금’이라는 별칭이 붙는다. 이곳 바다에 서식하는 ‘고성 문어’는 조선 시대 임금에게 진상하는 품목일 정도로 역사가 깊다. 지금도 간판 특산물이다. 지난달 말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대진항을 다녀왔다. 오전 10시가 넘자 새벽에 출어했던 문어잡이 어선들이 하나둘 들어왔다. 항구가 아연 소란스러워졌다. 수협 위판장은 선 경매한 문어를 저울에 올려놓고 무게를 달거나 관광객에게 팔려고 문어를 삶는 상인들로 활기가 넘쳤다. 김이 나는 큰 솥에 삶겨 분홍색으로 먹음직스럽게 색이 바뀐 문어는 미각까지
특별한 B컷들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관광공사
사진 변순철·조현택 작가 / 글 손영옥 기자
국민일보
'이런 저런사진·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Z의 몇 가지 풍경 (0) | 2022.03.12 |
---|---|
“금강산 가는 길목 언제쯤 열릴까…” 녹슨 철로의 꿈10월~12월 (0) | 2022.03.09 |
한양도성과 서울 야경 (0) | 2022.03.06 |
DMZ 60주년 기념 기록전 (0) | 2022.03.01 |
DMZ,희망의 사람들....4월~6월 (0) | 2022.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