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미의 어떤 시] [88] 푸르른 날
입력 2022.09.26 00:00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러워하자
저기 저기 저, 가을 꽃 자리
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눈이 나리면 어이하리야
봄이 또 오면 어이하리야
내가 죽고서 네가 산다면!
네가 죽고서 내가 산다면?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서정주(1915~2000)
![](https://blog.kakaocdn.net/dn/pq3Rg/btrM1e4Mli8/9uazNsFBNmdLT5n0S7YMHk/img.jpg)
송창식의 노래로 유명한 시. 아예 노래를 만들라고 지은 시 같다. 4행의 ‘초록이 지쳐’와 3행의 ‘저기 저기 저’는 똑같이 5음절. 가을 꽃 자리를 가리키려면 ‘저기 저’로 충분한데, ‘저기’를 한번 더 반복해 뒤에 오는 행과 운율이 완벽해졌다.
여고 시절 나의 애송시를 손으로 베껴 쓰다 “가을 꽃 자리” 뒤에 ‘초록이 짙어’를 입력하고는 아차! 내 기억의 잘못을 발견했다. ‘짙어’가 아니라 ‘지쳐’가 맞는다. “초록이 지쳐” 단풍이 든다? 여름에서 가을로의 변화를 이보다 더 멋지게 표현할 수는 없다. 4행의 초록과 단풍을 지나 5행에 ‘눈이’ 내리고 6행에 ‘봄이’ 나온다. 짧은 시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다 들어있다.
결코 지칠 것 같지 않던 청춘, 푸르던 잎들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태풍이 지난 뒤 맑고 푸른 하늘을 쳐다보며 생각난 시. ’푸르른 날’ 한 편만으로도 시인의 이름은 영원히 기억되리라. 어떤 소재든 주물러 작품을 만드는 미당 선생의 무서운 솜씨.
조선일보
'시와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꽃 (0) | 2022.09.30 |
---|---|
가을은 편지의 계절 (0) | 2022.09.29 |
친구가 그립다(친구이야기) (0) | 2022.09.22 |
초혼(招魂)/김 소월 (1) | 2022.09.21 |
아버지 (1) | 2022.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