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ZA6kL/btrNvh02vDB/8akXM4mvoHHrquTz4BtYJ1/img.jpg)
과꽃/
김영태
과꽃이 무슨
기억처럼 피어 있지
누구나 기억처럼 세상에
왔다가 가지
조금 울다 가버리지
옛날같이 언제나 옛날에는
빈 하늘 한 장이 높이 걸려 있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소박한 정물화 같고, 연필로 그린 밑그림에 옅은 채색만 더한 수채화처럼 맑습니다. 과꽃의 생김새나 색, 향기를 설명하지 않아도 충분합니다. 욕심껏 말을 더하지 않고, 꼭 있어야 할 자리에 알맞은 시어를 놓아 두었습니다. 무엇 하나 뺄 것도 보탤 것도 없습니다. 조금 빈 듯이 간결하니 ‘세련’된 맛이 있습니다. 과꽃은 ‘기억처럼 피어 있고’, 누구나 세상에 와서 ‘조금 울다’ 가버립니다. 시인은 살아가는 일이 노랫말 없는 쓸쓸한 노래와 같다는 걸 익히 아는가 봅니다. 그럴 때는 옛날 사람들이 그랬듯이 소매로 눈가를 꾹 찍고, 하늘을 봐야 한다는 것도요. 고개를 들어 하늘을 봅니다. 마음에도 자리가 있다면 백지로 비워 두고 싶습니다. 시인이라면 높은 하늘 한 장 끼워 두었겠지요.
신미나 시인
서울신문
'시와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 헤는 밤 (0) | 2022.10.02 |
---|---|
사랑 표현 / (0) | 2022.10.01 |
가을은 편지의 계절 (0) | 2022.09.29 |
[최영미의 어떤 시] [88] 푸르른 날 (0) | 2022.09.26 |
친구가 그립다(친구이야기) (0)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