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역사) 이야기

마음이 너그러워야

by 까망잉크 2008. 4. 19.
마음이 너그러우면(每事從寬)   

남문 안 주점

 

남대문 안 어느 탁주 장수가 개점(開店)한 첫날 해장국을 끓여서 파루(罷漏) 즉시 가게 문을 열고 등불을 걸었다.

한 상주(喪主)가 혼자 들어오더니, "해장국에 술 한 잔 주오." 했다.

곧 내가니 또르르 마시고는,"여기 국하고 술 한 잔 더 따르오."

또 얼른 내가니 쭉 들이켜고는, "내 돈이 없소. 이담에 갚으리다."

탁주 장수는, "아무렴 어떻겠수."

그 상주가 나간 후에 술꾼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서 진종일 밥 먹을 겨를도 없이 술을 팔았다.

이튿날도 새벽에 가게 문을 열고 등불을 내걸자, 그 상주가 또 들어와서 어제와 똑같이 행동했으나 탁주 장수는, "아무렴 어떻겠수."하였다.

상주가 나간 후로 술꾼이 역시 어제처럼 밀렸다. 탁주 장수는 그가 도깨비거니 생각하고 그 이후부터 더욱 각별히 대접했다.

그 상주가 어느 날 밤 돈 200냥을 들고 와 주면서,

"이게 외상 술값이오."했다.

종종 이렇게 했고, 술도 한결같이 잘 팔려서 1년 미만에 돈은 여러 만금이 벌리었다.

술장수가 상주에게 묻기를

"내 술장사는 치우고 달리 계획을 세워보는 게 어떨까요?"

"좋지."

가게를 내놓으니, 어느 선혜청(宣惠廳) 사령(使令) 한 놈이 집 판다는 말을 듣고 그 술집이 술이 잘 팔리는데 잔뜩 눈독을 올렸다. 사령이 집값을 두둑히 지불하고 기명 부정(器皿釜鼎) 등속도 후한 값으로 사간 것이다.

사령 놈도 술을 수십 항아리 빚은 연후에 해장국을 끓이고 파루 즉시 가게를 열고 등불을 달았다.

한 상주가 혼자 들어오더니, "해장국에 술 한 잔 주오,"

곧 내가니 또르르 마시고는, "여기 국하고 술 한 잔 더 따르오."

또 얼른 내가니 쭉 들이켜고는, "내 돈이 없어 내일 갚으리다."

술장수는 잔뜩 골이 나서,

"남의 새로 낸 가게에 외상술이 어디 있어. 빨리 돈을 내시오."

상주는

"돈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돈이 없거든 상복이라도 잡히고 가시오."

상주는 욕을 퍼부었다.

"상복을 너 푼 술값에 잡는단 말이냐?"

술장수가 욕설에 바짝 약이 올라 맨발로 뛰어 내려 와서 상주의 볼 따귀를 갈겨주려 했더니 상주는 욕을 연발하며 달아났다. 술장수는 붙잡아서 때려주려고 뒤쫓았으나 잡히진 않고 오히려 점점 멀어졌다.

한 모퉁이를 들어섰을 때 웬 상주가 붙들리었다. 다짜고짜로 방립(方笠)을 벗기고 왼손 오른손 번갈아 볼 따귀를 갈기며 욕지거리를 해 붙였다.

"남의 마수에 와서 돈도 안 내고 술을 마시고는 게다가 욕까지 하니 무슨 버릇이야, 이런 자는 심상하게 다뤄선 안 되지."

하고는 상복을 벗겨가지고 방립과 함께 옆에 끼고 갔다.

이 상주는 다름아닌 벼슬아치 양반이었다. 큰집 기제(忌祭)에 참례하고 파제(罷祭) 후에 단신으로 귀가하다가 뜻밖에 망칙한 변을 당한 것이다. 빰이 얼얼할 뿐 아니라 분기(憤氣)가 탱천(撑天)하여 다시 큰집으로 들어갔다. 온 집안이 대경(大驚)하여 어찌된 영문인가를 물었다.

"엉겁결에 어떤 놈이 돌출하여 약차약차 합디다."

모두들, "술장수 놈 소행이 틀림없다."

하고 하인을 다수 발동하여 방립과 상복을 찾고 술장수를 잡아왔다.

우선 단단히 분풀이를 하고 날이 밝자 형조(形曹)로 이송했다. 형조에서 법에 의거해 귀양을 보내니, 저간에 난 비용이 불소하고, 술 역시 한 잔 마시는 이 없어 이로 말미암아 가산을 탕진한 것이다.

<'성수패설(醒睡稗說)'에서, 이우성·임형택 역>

 

파루 : 오경 삼점에 쇠북을 33번 치던 일. 서울에서 인정(人定 : 밤에 통금을 금하기 위해 매일 밤 10 시에 종을 28번 쳤음) 이후 야간 통행을 금하였다가 파루를 치면 해제되었음
선혜청 : 조선조시대 대동미·포·전 등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청, 각 지방에도 대동미의 출납을 위해 8개의 지청을 두었음.
기명부정 : 살람살이에 쓰는 그릇붙이와 부엌에서 날마다 쓰는 그릇을 아울러 일컫는 말.
방립 : 상제가 밖에 나갈 때에 쓰는 삿갓 모양의 큰 갓. 대오리로 만듦. 방갓
마수 : 마수걸이의 준말. 맨 처음 팔리는 것으로 미루어 예측하는 그 날 장사의 운수.
탱천 : 분한 마음이 하늘을 찌를 듯 격렬하게 북받쳐 오름. 분기충천
약차 약차 : 여차여차

출처: http://www.seelotus.com/

[출처] 마음이 너그러우면(每事從寬)

'옛(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삼대의 애기  (0) 2008.04.30
그 사람과는 원수지간 아니오 ?  (0) 2008.04.22
성냥 의 얽힌 이야기  (0) 2008.04.21
기미년 3월1일의 秘話  (0) 2008.04.16
아버지 첩이 아니라 제 첩이었소  (0) 2008.04.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