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궁 화 꽃
|
|
|
| |||||||
|
|
|
|
무궁화 (無窮花)는 아욱과의 식물로, 대한민국의 나라꽃이다. 학명은 '히비스쿠스 시리아쿠스 린나이우스'(Hibiscus syriacus linnaeus)이다.
작은키나무로, 2~3미터의 높이에 팔목 정도의 굵기로 자란다. 꽃잎은 길이가 4~10센티미터이며 달걀 모양으로 깊게 3갈래로 갈라져 있다. 보통 5장으로 되어있는 것이 많으나, 일부 종에 한하여, 다수의 꽃잎으로 이루어졌다. 7월에서 9월에 꽃이 피는데, 새벽에 꽃이 새로 피었다가 오후에는 오므라들기 시작하고 해질 무렵에는 꽃이 떨어지기를 반복한다. 씨에는 잔털이 붙어 있다.
구당서 ‘신라전(新羅傳)’에는 신라를 가리켜 ‘근화향(槿花鄕, 무궁화의 나라)’으로 말하고 있다. 무궁화는 산해경에 '아침에 펴서 저녁에 지는 훈화'로서 '군자국(君子國)에 대한 설명에 언급되었다. 시
화'로 불린 것은 조선대 이후로, 그 이전에는 '목근(木槿)' 또는 '근화(槿花)'로 불렀다.
무궁화'는 애국가의 후렴구에서도 등장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꽃이다.
무궁화의 꽃말은 일편단심이랍니다
무궁화 대훈장:대통령이나 영부인, 우방 원수 및 그 배우자, 또는 우리나라의 발전과 안전 보장 따위에 뚜렷이 이바지한 전직 우방 원수 및 그 배우자에게 수여하는 훈장. 우리나라의 최고 훈장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