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나무(丹楓)/
오매! 단풍 들것네
![]() |
![]() |
단풍나무과(丹楓―科 Ace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키가 15m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5~7갈래로 갈라졌으며, 갈라진 조각의 끝은 뾰족하다.
꽃은 5월에 산방(繖房)꽃차례를 이루어 무리져 피는데 한 꽃에 암술 또는 수술만 있거나 2가지 모두 있다.
수꽃에는 수술이 8개, 암꽃에는 암술이 1개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잎은 암꽃과 수꽃 모두 없고 꽃받침잎 5장이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9~10월에 시과(翅果)로 익는다.
우리나라 남쪽지방에서 자라고 가을에는 잎이 붉은색으로 아름답게 물든다.
많은 원예품종들이 만들어졌으며 이중에서 잎이 1년 내내 붉은 종류를 홍단풍(또는 봄단풍·노무라단풍),
푸른 것을 청단풍,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수양단풍 등을 많이 심고 있다.
단풍나무는 반그늘 또는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땅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도 잘 견디나,
공해가 심한 곳이나 바닷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申鉉哲 글>
"오매.단풍 들것네/장광에 골붉은 감잎 날아오아/누이는 놀란 듯이 치어다보며/
오매.단풍 들것네/추석이 내일 모레 기둘리니/바람이 자지어서 걱정이리/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오매.단풍 들것네." 서정시인 김영랑의 詩
우리 조상들도 단풍을 좋아했다.풍류를 즐기던 연산군은 가을 경치를 보고
"단풍잎 서리에 취해 요란히도 곱고/국화는 이슬 젖어 향기가 난만하네/
조화의 말 없는 공 알고 싶으면/가을산 경치 구경하면 되리" 하고 지은 詩 한 수를 승정원에 내렸다.
평지엔 늦더위가 채 가시지도 않았는데 산 꼭대기엔 단풍이 든다. 가을이 온것이다. 바위 틈 사이에 자라난 단풍나무들이
온통 붉어져 금강산은 楓嶽山이 된다.山河를 붉게 물들이는 마법의 丹楓.
단풍나무,개웇나무,붉나무,화살나무 등은 안토시아닌이 많아 붉은 단풍이들고
은행나무,튤립나무,칠엽수(마로니에),메타쎄콰이어 등은 카로틴이나,크산토필이 많아 노랑단풍이 든다.
단풍나무는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하기도 좋지만,재질이 좋아 목재로도 많이 쓰인다.
가구,소반,은 물론 최근에는 피아노의 액션,테니스 라겟,볼잉 핀 에도 쓰이고체육관의 바닥재로도 최고급품이다.
단풍나무의 종류에는 외국에서 들어온것을 포함하여 약 20여종이나,인위적으로 교배시켜 만든 원예 품종을 포함하면 그 수는 더욱 많아진다.
![]() |
![]() |
![]() |
![]() |
|
|
|
|
출처:다음백과,궁궐의우리나무(박상진著).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