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역 한 달 이상 미루고 백령도서 작전 수행중인 , 그들은 왜?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dimg.donga.com%2Fwps%2FNEWS%2FIMAGE%2F2018%2F09%2F30%2F92199081.2.jpg)
해병대 병장 7명이 동료들과 함께 백령도 내 유실 지뢰 제거 작전을 끝까지 수행하고 싶다며 전역을 한 달 이상 미룬 사연이 뒤늦게 알려졌다.
사연의 주인공은 해병대 1사단 공병대대 이재성 정민혁 권승준 강재현 강혁규 이태원 원현권 병장(21·이태원 병장만 20)이다.
30일 해병대 사령부에 따르면 이재성 정민혁 병장은 다음달 22일, 나머지 병장들은 11월 12일 각각 전역이 예정돼있다. 그러나 이들은 “동료들과 함께 지뢰 탐지 및 제거 임무를 모두 완수한 뒤 전역하겠다”며 6월 부대측에 전역을 연기할 뜻을 밝혔다.
해병대 1사단 공병대대는 9월~12월초 약 3개월간 백령도에 투입돼 유실 지뢰 탐지 및 제거 작전을 할 게획이었다. 군은 6·25전쟁 이후 백령도에 북한군 침투를 막기 위해 경계용 지뢰를 매설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지뢰 중 일부가 폭우 등으로 유실되자 해병대는 정기적으로 1사단 공병대대를 투입해 유실 지뢰 탐지 및 제거 작전을 해왔다. 전역을 미룬 7인 역시 지뢰탐지병, 폭파병 등으로 지뢰제거작전에 수차례 투입돼 경험을 쌓았다. 해병대 관계자는 “이들의 전역 연기로 지뢰 탐지 및 제거 작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성 병장은 “지뢰 제거 유경험자로서 마지막 작전을 전우들과 꼭 함께 하고 싶었다”며 “조국 동쪽 끝 울릉도에서 태어나 서쪽 끝 서북도서에서 군 생활을 마무리하게 된 건 큰 영광”이라고 말했다.
손효주 기자
Copyright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출처] dongA.com
[길] 과로사 30대 검사의 낡은 수첩 속 '따뜻한 10계명'l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age.chosun.com%2Fsitedata%2Fimage%2F201809%2F29%2F2018092900129_0.jpg)
수첩엔 "감사하자" "겸손하자" 배려 다짐하는 10줄짜리 글
지난 7일 새벽 2시 12분쯤 충남 천안의 한 아파트 엘리베이터 안에서 천안지청의 서른다섯 살 검사 이상돈이 숨진 채 발견됐다. 밤늦게까지 사건을 처리하고 관사로 쓰던 아파트로 귀가하던 길이었다. 현장에 도착한 119 요원이 심폐소생술을 했지만 그는 눈을 뜨지 못했다. 부검 결과, 사인은 과로사(過勞死)로 추정됐다. 그는 서른 살 아내 서모씨와 세 살배기 아들을 남겼다.
장례를 마친 아내가 최근 남편이 남긴 물건을 정리하다 낡은 수첩 하나를 찾았다고 한다. 다 해진 가죽 수첩 안에는 'Mind setting(마음가짐)'이라는 제목의 글이 있었다. '항상 남을 배려하고 장점만 보려고 노력하자' '언제나 밝은 모습으로 지내자' '내 주변 사람들에게 언제나 친절하고 애정을 보이자' '일은 열정적이며 완벽하게 하자' '생각을 바르게 그리고 똑똑하게 하자' '감사하자 감사하자, 그리고 겸손하자'…. 살면서 스스로 지키자고 다짐한 일종의 '십계명'이었다.
아내 서씨는 장례를 도와준 천안지청에 감사 편지를 보내면서 이 글을 함께 담아 보냈고, 천안지청은 지난 17일 그 내용을 검찰 내부 통신망에 올렸다. 어찌 보면 뻔한 말들이었지만 100명에 가까운 검사들이 "정말 수첩에 적은 대로 살았던 검사"라는 애도의 댓글을 달았다. 한 동기 검사는 "늘 다른 사람들에게 애정을 갖고 대하고 열정적으로 일했던 검사였다"고 했고, 선배 검사는 "후배지만 선배같이 훌륭하게 살았던 검사"라고 했다. "이 검사가 남긴 글을 마음에 새기고 근무하겠다"는 이도 있었다.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총학생회장 출신인 그는 2015년 임관한 4년 차 검사였다. 동료 검사들은 '남을 배려하는 게 몸에 밴 사람'으로 그를 기억했다. 보통 검사들은 인사철이 돼 자리를 옮길 때 처리하지 못한 미제(未濟) 사건 70~80건 정도를 남기고 떠난다. 그런데 그가 지난 1월 인천지검에서 천안지청으로 옮길 때 후임에게 남긴 미제 사건은 단 한 건이었다. 그는 그마저도 무척 미안해했다고 한다.
그의 십계명 중엔 '건강에 대한 자만심을 버리자'는 내용도 있었다. 한 검사는 "다른 건 다 지키면서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자는 욕심에 자기 건강을 지키지 못했다"며 안타까워했다.
그의 아내는 천안지청에 보낸 감사 편지에서 "검사 이상돈은 타인을 귀히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약자를 배려하며 살아왔다"면서 "부디 짧은 시간이었지만 검찰에 있는 동안 온 힘을 다해 헌신했던 그를 잊지 말아 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의 하나밖에 없는 아들을 '난 사람'이 아닌 '된 사람'으로, 훌륭한 성품을 가진 이 나라의 기둥으로 키울 수 있도록 지켜봐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천안지청과 그의 동기 검사들은 현재 그의 어린 아들을 위해 장학금을 모으고 있다. 또 그의 죽음이 공무상 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조선알보
'사진으로 보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외 50조 투자 (0) | 2018.10.24 |
---|---|
'마음까지 분홍분홍' (0) | 2018.10.19 |
[스크랩] 아들 9명에 열번째 아들 임신한 엄마 (0) | 2018.09.30 |
[스크랩] 남북정상회담 (0) | 2018.09.23 |
2018 평양 남북정상회담 (0) | 2018.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