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의 시간여행] [23] "아까운 식량, 개들이 너무 축낸다" 농수산부, 한때 '개 사육 억제' 나서
1975년 초, 색다른 '개 논쟁'이 일어났다. "사람 먹을 것도 넉넉지 않은데 개들에게 적지 않은 식량을 먹여 기르는 게 맞느냐"는 '개 사육 논쟁'이었다. 이 문제는 뜬금없게도 그해 1월 24일 열린 '식량 절약에 따른 주부의 역할'이라는 좌담회에서 불거졌다. 주최 측인 주부클럽연합회는 개가 얼마나 많은 식량을 먹는지 조사해 좌담회에 제시했다. 식량 절약을 위해 개들의 마릿수를 줄이자는 여론을 일으키려는 의도였다. 농수산부 통계에 따르면 당시 약 136만7000마리의 개가 한 해 140만 섬의 식량을 먹어치우고 있었다. 그러나 좌담회에선 한 축산학 교수가 개 사육 억제론을 강력히 반박했다. 그는 "국내 개 중 100만 마리 이상의 이른바 '똥개'는 버리는 밥찌꺼기로 사육되니 식량 문제와 무관하다"며 오히려 개가 고단백질 공급원으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밥찌꺼기 먹여 개를 기른 뒤 잡아먹으면 되지 않느냐는 이야기였다.
하지만 식량 절약을 위해 개를 줄이자는 주장은 상당한 공감대가 있었는지 정부도 움직였다. 농수산부는 그해 5월 27일 각 시·도에 식량 절약을 위한 '개 사육 억제 지침'을 시달했다. 가정집은 물론, 전문 사육업자들도 마릿수를 줄이도록 적극 권장·계몽하라는 것이었다. (밥을 많이 먹고 사나운) 셰퍼드, 도사견 등 대형종은 소형종으로 바꾸라는 내용도 포함됐다.(조선일보 1975년 5월 28일 자) 조선일보도 사설을 통해 '잘하는 일'이라며 지지했다. 개 사육 억제론이 공감을 얻은 이유는 무엇보다도 먹거리의 절대량이 모자랐던 나라 사정 때문이었다. 1974년 한 해 소비된 쌀·보리 등 작물은 7100만 섬이었는데, 총 생산량은 5191만여 섬밖에 안 됐다. 부족한 2000만 섬은 수입해야 했다. 정부는 쌀 부족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잡곡을 30% 이상 섞지 않은 식당은 법정최고형으로 처벌하는 등 혼·분식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었다. '개밥'이 낭비로 보일 만했다. 정부가 개 사육 억제에 나선 1975년 상반기에 서울시와 농수산부가 약속이나 한 듯 개고기 판매 합법화 조치를 취한 것도 우연은 아닐 것이다. 아까운 밥 먹여 길렀으니 단백질 섭취를 위해 잡아먹자는 생각이 깔려 있었다고 보인다.
개 사육 억제론이 나왔던 또 하나의 배경은 개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오늘의 등록 반려견(약 97만9000마리)이 인구 51명당 1마리꼴인데, 40년 전 개 숫자는 인구 26명당 1마리꼴이나 됐다. 인구당 개의 밀도가 2배였다. 게다가 그때 개들은 몸집도 컸다. 전체의 85%쯤 됐던 '똥개'들은 먹는 양도 만만치 않았다. 개가 이렇게 많았던 건 대부분 단독주택에 살던 때여서 많은 가정이 방범용으로 길렀기 때문이다. 마당에 묶어놓고 키웠던 잡종견은, '아들·딸' 대접까지 받는 오늘의 반려견과는 위상 자체가 달랐다. 그러니 개밥이 아깝다는 말이 나온 것이다. 그 시절 서울 개의 5%쯤은 고기와 우유도 먹는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어느 교수는 '일부 부유층의 몰지각상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할 정도였다. 오늘날엔 반려견에게 고기·우유는 물론이고 캐비어를 먹이는 일도 있다. 햇빛 강한 날 산책시킬 땐 개 전용 선글라스까지 씌워 주며, 죽으면 2일장으로 장례를 치른다. 반세기 동안 이 땅에서 개 팔자만큼 가파르게 상승한 것도 찾기 어렵다.
조선일보
'김명환 外 시간여행·문학 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명환의 시간여행] [25] '무한 동력' 꿈꾸는 발명가 속출… 이승만 대통령 속여 돈 타내기도 (0) | 2023.01.30 |
---|---|
[김명환의 시간여행] [24] 극장서 애국가… 관객들 '기립' 20년… 가장 난감했던 건 '에로 영화' 관객들 (0) | 2023.01.11 |
[김명환의 시간여행] [22] 국회에 '콧수염 의원 친목 모임' 탄생… 박정희 대통령 "로마, 수염 탓에 망해" (0) | 2022.12.27 |
[김명환의 시간여행] [21] 허기와 싸웠던 초창기 국군 용사들… 영양실조 병사 위한 '保育隊'도 창설 (0) | 2022.12.09 |
[김명환의 시간여행] [17] 다람쥐 수출… 한때 年 30만 마리까지 "강원도 다람쥐, 전 세계서 재롱떤다" (3)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