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이야기

수해를 이루고.....전나무

by 까망잉크 2008. 9. 5.

 

전나무(젓나무)/

                  수해(樹海)를 아루고 살아가는......

 

 

 

 

젓나무라고도 함.

겉씨식물인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으로

하늘을 찌를듯 쭉쭉뻗은 나무들이 펼쳐진 숲을 수해(樹海)라 하며 바늘잎나무(針葉樹)로 이루어진

수해는 자연에 웅장함을 고스란히 전해주는데.벼린 칼날로 썰어 놓은듯이 정리된

그 바늘잎나무들 안으로 들어서기가 겁이 날 정도이다.

이 전나무는 주로 추운 지방에서 자라면서도 늘신하고, 긴 줄기가 한� 뽐내며, 한그루씩 덜어져 살지 않고

많이 모여 살아간다. 이름난 큰 절에는 중창 불사할때 기둥감으로 쓰기위해 전나무를 심은 경우가 많다.

해인사 팔만 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수다라장 이나, 전남 강진 무위사 극락전 기둥의 일부를

전나무 기둥이 받치고 서 있는 것이다.

)전나무는 깊은 산,사찰의 주변에서 자라며 늘푸른 바늘인 큰키나무(常綠 針葉 喬木)로 두세 아름

까지 자랄수 있다.봄에는 황록새 꽃이 피고 가을에는 10cm 정도의 원통형 솔방울이 위로 향하여 익는다.

"훈몽자회", "왜어류회", "물명고".에는 젓나무로 나오고 ,현재 대부분의 수목도감,국어사전

에서는 전나무로 쓰였다.

키 40m, 지름 1.5m에 이른다. 수피(樹皮)는 잿빛이 도는 흑갈색이며, 곁가지는 많지 않다.

선형의 잎은 길이가 4㎝, 너비가 0.2㎝ 정도이고, 끝은 갈라지지 않고 뾰족하며, 꽃은 4월에 길이가 1.5㎝인 원통형의 수꽃송이와 길이가 3.5㎝인 긴 타원형의 암꽃송이가 따로따로 한 그루에 핀다.

2년마다 맺히는 3각형 모양의 씨는 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와 북부 지방에서 많이 자라고, 나무 생김새가 고르고 수려하여 공원수나 정원수로 심으며, 건축재·가구재·펄프재·상자재로 쓴다.

남쪽 지방에서는 일본에서 들여온 잎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일본젓나무(A. firma)를 심는다.

 

 ~크리스마스 트리의 전설~

 성탄절은 반짝반짝 아름답게 반짝이는 크리스마스트리로 인해 더욱 성탄절답다.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나무로 만든 크리스마스트리가 대부분이지만 서양에서는 진짜 나무로 만드는데.

이 성탄나무가 바로 전나무이다.

<우리 나라 전나무와 서양의 전나무 종류는 정확히는 서로 다른 종이며 구상나무도 이에 포함된다.>
긴 삼각형의 아름다운 수형, 짙푸른 잎새를 가진 전나무가 크리스마스 트리로 이용된 데에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옛날 유럽의 한 숲 속에 나무꾼과 그 딸이 살고 있었다.

마음씨 착한 소녀는 숲을 몹시 사랑하여 항상 숲속에 나가 요정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고 날씨가 추워서

나갈 수 없는 날엔 요정들을 위해  전나무에 작은 촛불을 켜 놓곤 하였다.
성탄절 이브에 딸에게 좋은 선물을 주기 위해 깊은 숲으로 나무를 하러 들어간 나무꾼 아버지는

그만 길을 잃었다. 그런데 알 수 없는 불빛이 반복해서 보여 집까지 무사히 다다르게 되었다.

숲 속의 요정들이 친구인 소녀의 아버지를 위해 불빛으로 인도한 것이다.

그때부터 귀한 손님이 오실 때에는 집 앞의 전나무에 촛불을 켜두고 맞이하는 풍속이 생겨나고,

성탄절에도 새로 태어난 아기예수를 영접하는 뜻으로 전나무에 촛불을 밝히고

아름다운 장식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전나무는 이 나무에서 나오는 하얀 물질의 이름이 '젓'이라고 하여 젓나무로 쓰기도 하고,

수피에 흰빛이 돈다 하여 백송<중국산 백송과는 다르다>이라고 부른다.

관상수로 좋지만 공해에 약한 것이 흠이고, 잎은 류머티스를 비롯한 여러 증상에 약으로 쓰이며,

목재는 휘거나 마디가 없어 아주 귀하게 이용했다. 

                   

      
 

 

출처:다움,엠파스.궁궐의우리나무.

<申鉉哲,이유미(산림청 국립수목원 임업연구사)글 참고.

 

 

        

'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木根 이라는 이름에...팽나무  (0) 2008.09.11
歲寒之友 라하는 冬柏  (0) 2008.09.09
줄기에 돋은 가시....주엽나무  (0) 2008.09.01
토끼풀  (0) 2008.08.29
하회탈과 나막신의 재료. 오리나무  (0) 2008.08.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