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이야기

歲寒之友 라하는 冬柏

by 까망잉크 2008. 9. 9.

동백나무/

    추운 겨울에도 쉽게 만날수 있는 친구

       세한지우(歲寒之友)              

 

차나무(茶一科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

                                   
동백나무 /서면 마량리 동백나무숲, 천연기념물 ...                외도 /외도의 동백꽃, 경남 거제시 ...
 

때때로 줄기 밑동에서 많은 가지들이 나와 관목처럼 자라기도 한다.

수피(樹皮)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미끈하다. 잎은 가죽처럼 두껍고 어긋나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노란색이 섞여 있는 초록색이며, 잎가장자리에는 끝이 뭉툭한 톱니들이 있다.

꽃은 빨간색이며 겨울에 1송이씩 잎겨드랑이나 가지끝에 핀고, 꽃잎은 5~7장이지만 꽃잎의 아래쪽은 서로 감싸고 있으며

꽃받침잎은 5장이다. 수술은 많고 기둥처럼 동그랗게 모여 있으며 수술대는 흰색,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졌으며, 열매는 삭과(蒴果)로, 가을에 구형(球形)으로 익으며 3갈래로 벌어지는데 그속에는 진한 갈색의

씨가 들어 있다. 꽃의 밑에서 화밀(花蜜)이 많이 나오며 동박새가 이것을 먹는 틈에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므로 대표적인

조매화(鳥媒花)로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및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서만 볼 수 있는데

바닷가를 따라 서해안 어청도까지, 동쪽으로는 울릉도까지 올라와 자란다.

특히 울산광역시 온산읍 방도리에 있는 목도(目島)에는 동백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어 동백섬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의 동백나무숲은 동백나무의 북한계선으로 천연기념물 제66호로,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의 백련사 동백나무숲은 제151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의 동백나무숲은 제169호로,

전라남도 고창군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제 184호로,

경상남도 거제시 학동리의 동백나무숲은 제 233호로 각기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전라남도 여수시의 오동도 또한 동백나무숲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대나무·소나무·매화나무를 세한삼우(歲寒三友)라 하듯이 다른 식물이 모두 지고 난 겨울에 피는 동백꽃을

추운 겨울에도 정답게 만날 수 있는 친구에 빗대어 세한지우(歲寒之友)라고 부르기도 한다.

분재(盆栽)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생장속도는 느리지만 그늘지고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라고 줄기에서 가지가

나오므로 가지치기를 많이 해도 잘 견디고,. 공해나 소금기에도 강하다.

옛날에는 동백나무 씨에서 기름을 짜서 등잔기름·머릿기름 또는 약용으로 쓰기도 했다.

이밖에 혼례식 상에서 동백나무를 대나무와 함께 자기항아리에 꽂아 부부가 함께 오래 살기를 기원하기도 했다.

<申鉉哲 글>

동백꽃 꽃말 : 자랑, 겸손한 아름다움

    (백색) 당신은 나의 사랑을 경멸하는 것입니까?

    (적색) 나는 당신이 누구보다도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복숭아빛) 나는 당신에게 사랑받는 것을 자랑으로 생각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마량리 동백나무숲>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자리잡은 동백나무숲은 애절한 전설과 함께 500여년의 수령을 자랑하는 동백나무 85그루가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제 169호로 지정된 이 동백나무 꽃의 만개기간은 3월말에서 5월 초순으로 이 기간동안

아름다운 동백꽃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전설을 보면 서면 마량리 수군첨사가 험난한 바다를 안전하게 다니려면 이곳에 재단을 세워 제사를 지내야 한다는

계시를 받고 이곳에 재단을 만들 당시 그 주변에 동백나무를 심었다고 전하는데 그때의 나무가 자라서 오늘날의 이곳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곳의 바닷물은 동해안으로 착각할 정도로 맑고 깨끗하여 동백정 해수욕장으로도 유명하였는데

현재 서해화력발전소가 들어서 자취를 잃어버렸습니다.

동백정 주변의 뛰어난 경관으로 . 특히 산정상의 동백정에서 바라보는 서해안의 낙조는 탄성을 자아내게 합니다.^^

 

출처:다움,브리태니커.                                                                                                                                                            

 

                                                                                                                                                    

'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호 백발....할미꽃  (0) 2008.09.17
黃木根 이라는 이름에...팽나무  (0) 2008.09.11
수해를 이루고.....전나무  (0) 2008.09.05
줄기에 돋은 가시....주엽나무  (0) 2008.09.01
토끼풀  (0) 2008.08.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