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언·그리고 못 다한 이야기324

돈의 철학 돈의 철학 돈의 철학 거상 임상옥은 역관의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할아버지 때부터 가세가 기울었고, 아버지는 많은 빚을 진 채 돌아가셨습니다. 그래서 임상옥은 의주 지역에서 청나라를 상대로 무역 활동을 하는 상인 밑에서 허드렛일부터 하면서 장사하는 법을 배우고 있었습니다. 임상옥이 어릴 때부터 아버지께 항상 들어왔던 말이 있었습니다. "장사란 이익을 남기기보다 사람을 남기기 위한 것이며, 사람이야말로 장사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이윤이고, 따라서 신용이야말로 장사로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자산이다." 어느 날 청나라에 가서 장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청나라와의 주된 무역 품목이 인삼이었는데, 임상옥은 가져간 인삼을 다 팔아 첫 장사를 성공적으로 마치는 듯했습니다. 장사를 마친 임상옥은 일행과 술집에서 아.. 2021. 10. 9.
속깊은 우정 속깊은 우정 이런친구,한사람만,있으면,인생성공한,사람,,,?????,, 노요지마력(路遙知馬力). 일구견인심(日久見人心). 먼길을 가봐야 그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세월이 흘러야 그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노요(路遥)와 마력(馬力)은 좋은 친구였다. 노요의 부친은 부자였고, 마력의 아버지는 그집 종이었다. 비록 두 사람은 주종 관계였지만 사이가 좋아 같이 공부하고 놀곤 했는데 어느덧 두 사람은 장성하여 결혼을 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노요는 재산과 세력이 있어 배필 얻는데 아무 걱정이 없었으나 마력은 너무 빈곤하여 낙담하고 있던차에 색시감을 소개받았지만 예물을 구할 길이 없었다. 할 수 없이 마력은 같이 공부한 노요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노요는 돈을 빌려 주는 대신에 신혼 방에서 자신이 마력 대신 신.. 2021. 10. 3.
5 少 하고 13 多 하라 5 少 하고 13 多 하라 5 少 란 1 . 少食 (소식) : 과식하지마라. 십장생의 동물들은 위의 80%에만 음식을 채웠다. 2 . 少言 (소언) : 말을 많이 하지마라. 귀가 2개이며 입은 하나뿐인 이유를 알라. 3ㆍ少怒 (소노) : 화를 내지마라. 스트레스가 극심해 나의 육체를 병들게 한다. 4ㆍ少慾 (소욕) : 욕심은 만병의 근원이다. 사망의 지름길이다. 5 . 少車 (소차) : 가능하면 많이 걷고 차를 적게 탄다. 다리는 제2의 심장이다. 이 심장은 걸을때에만 운동한다. 13 多 란 1 . 多見(다견) : 많이 보고 새로운 것을 배워라. 세상과 주변은 이해한 만큼 보인다. 2 . 多動 (다동) : 많이 움직여 많은 근육을 사용하라. 그래야만 건강이 유지된다. 3 . 多浴(다욕) : 따뜻한 물로 .. 2021. 10. 1.
아버지란 누구인가? 아버지란 누구인가? 아버지란 침묵과 고단함을 자신의 배개로 삼는사람이다. 정작 아버지가 옷걸이에 걸고 싶은 것은 양복 상의가 아니라 어깨를 누르고 있는 무거운 짐이다. 아버지란 기분이 좋을 때 헛기침을 하고 겁이 날 때너털 웃음을 웃는 사람이다. 아버지란 겉으로는 태연해 하거나 자신만만해 하지만 속으로는 자신에 대한 허무감과 가족 걱정으로 괴로움을 겪는 존재이다. 자기가 기대한 만큼 아들딸의 학교 성적이 좋지 않을 때 겉으로는 “괜찮아, 괜찮아” 하면서도 속으로는 몹시화가 나 있는사람이다. 아버지의 마음은 먹칠을 한 유리로 되어 있다. 그래서 잘 깨지기도 하지만 속은 잘 보이지않는다. 아버지는무관심한 사람 이아니다. 아버지가 무관심한 것처럼 보이는것은 체면과 자존심과 미안함 같은 것이 어우러져서 그 마음.. 2021. 9. 29.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 Top 15.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 Top 15.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어단어를 앙케이트로 조사했더니, 가장 아름다운 영어단어는 'Mother' (어머니)가 뽑혔다고 합니다. 두 번째 아름다운 영어단어가 'Father'(아버지) 같았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 Father가 아니고 'Passion'(정열)이었습니다. .. 2019. 4. 5.
因緣 그 깨달음으로... 因緣 그 깨달음으로... 깨 소금을 섞으면 깨소금이 되듯... 깨와 설탕을 섞으면? 깨달음으로 탄생합니다. 뉴턴과 사과의 인연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낳았고 잡스와 애플의 만남이 세상을 바꿨으며 유성룡과 이순신의 인연은 나라를 구했습니다. 원효대사는 해골바가지를 만나서 일체유심조.. 2019.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