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무나무/
길잡이 이정표 나무라오
키가 20m에 달하며 가지에 큰 가시가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저지대의 계곡이나 하천변에서 자라며. 잎은 어긋나는데 가장자리에는 비교적 모양이 고른
톱니가 있다. 연한 노란색의 꽃은 5월 무렵 암꽃과 수꽃이 한그루에 같이 피거나
여기에 양성화가 섞여 피며 꽃의 크기는 1~2㎜ 정도로 아주 작다.
열매는 10월에 한쪽 방향으로만 날개가 발달한 시과(翅果)로 익는다.
시무나무는 느티나무·느릅나무와 유연관계가 깊은데. 느티나무의 열매에는 날개가 전혀 없고, 느릅나무는 열매 양쪽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시무나무는 한쪽에만 날개를 가진다.
시무나무의 속명(屬名)인 헤미프텔레아(Hemiptelea)에서 'hemi'는 절반을 뜻하고 'ptelea'는 날개를 뜻한다.
목재는 재질이 견고하면서도 질겨, 기구·운동기구·토목용재로 쓰인다.
또한 수피(樹皮)는 식용으로, 어린 잎은 쪄서 먹거나 가축사료로 이용된다.
번식은 가을에 씨를 따서 땅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파종하기도 하며, 꺾꽂이로 번식시키기도 한다.
<李相泰 글 >
시무나무는 옛 과거 길의 길잡이 나무로 나그네들은 이정표로 심어진 시무나무를 보고 거리를 알아 차리게 했다.
오리 남짓한 거리에는 오리나무를 거리가 벌어진 10리나 20리에는 이나무를 심었다한다.
이나무는 어릴땐 험상굿은 가시가 달리고 비옥한 땅을 좋아해 아무곳에나 자라지 않고,엽전을 닮은 열매가 달려
이정표 나무로는 제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먼 곳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이정표 나무로 많이 심었다.
김삿갓의 풍자시에
이십수하삼십객 (二十樹下三十客)
사십촌중오십반 (四十村中五十飯)
이라 했다. 시무나무(스물 二十) 밑에 서러운(서른 三十) 길손이 망할(마흔 四十)놈의 마을에서 쉰(五十)밥을 얻어먹는다는
뜻의 나그네 서러움을 읊은 것이 있다.
여기의 이십수는 시무나무를 표현한 것으로 이정표나 정자목이었음을 알 수 있다.
흔한 나무였음에도 남아있는 노거수는 그리 많지 않다.
현존한 노거수에는 대개가 기도목으로 얽힌 얘기가 많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시무나무를 향해 백일기도를 하면 득남한다고 믿었고, 그런가 하면 마을 어귀에 서서 농사의 풍흉을 알려준 농업목 구실도 했다.
잎이 활짝 피면 풍년이 들고 시원치 않으면 흉년이 들어 풍요를 비는 농민은 시무나무의 발아에 많은 축원을 드렸다.
*시과(翅果):시각에 의하여 생기는 원근(遠 近).방향 따위의 넓어짐의 표상
![]() |
![]() |
![]() |
출처:위키백과,다움,궁궐의우리나무.
'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회탈과 나막신의 재료. 오리나무 (0) | 2008.08.27 |
---|---|
피부병 치료에 사용....붓꽃 (0) | 2008.08.26 |
환생을 상징.....연꽃 (0) | 2008.08.17 |
큰 접시꽃 나무 (0) | 2008.08.13 |
변함이 없어요. 사철나무 (0) | 2008.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