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것의 기록들538 고무줄 놀이 고무줄 놀이 고무줄을 가지고 하는 어린이 놀이. 동요 또는 변형된 구전동요에 맞추어 특정한 발동작을 취하면서 뛰고 넘고 하는 유희로, 줄넘기와 함께 8~12세 사이의 여자 어린이들이 많이 즐기는 놀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4명이 편을 갈라 노는 것이 보통이지만 더 많은 수의 인원이 하기도 한다. .. 2009. 4. 4. 재봉틀(裁縫) 재봉틀(裁縫) 유용한 용품을 만들기 위하여 바늘에 실을 꿰어 천·가죽·종이 등을 짓거나 꿰매는 기계. 시대가 변화했어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를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도 ‘의·식·주’하고 답할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의’가 으뜸으로 나선 것을 .. 2009. 3. 25. 조바위,남바위 조바위 조선 말기에 생겨나 양반에서 서민까지 널리 사용된 쓰개이다. 조바위는 머리에 꼭 맞게 만들어 이마와 귀를 완전히 덮고 윗부분을 드러내며, 뒤는 낭자머리가 보이게 둥글게 터서 만들었다. 귀를 덮는 부분은 안으로 약간 오그라들게 하고 바람을 막도록 천을 덧댄다. 예장을 갖추지 못했을 .. 2009. 3. 11. 죽부인(竹夫人) 죽부인(竹夫人) 6 피서용 취침 용구이다. 중국 당나라 때는 죽뢰술이라 불렀다가 송나라 때에 이르러 죽부인 또는 죽희(竹姬)라고 불렀다. 조선조 이유원의 글 '임하필기'에 보면 "무더운 여름 평상에서 죽부인을 두고 수족을 쉰다. 그 가볍고 시원함을 취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잘 마른 황죽을 참숯에 .. 2009. 2. 28. 다듬이 질 다듬이질/천을 다듬는 전래방식의 하나 다듬이질 /다듬잇돌과 방망이 옷이나 이불호청 등을 세탁한 후 풀을 먹여 약간 말려 손질한 다음 다듬잇돌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로 두드린다. 풀을 먹여 두드리면 천이 견고해지고 매끄럽게 된다. 골고루 두드리기 위해서는 여러 번 접어가면서 윤이 나도록 다.. 2009. 2. 17. 짚신 짚신 볏짚으로 만든 신. 초혜(草鞋)·망리(芒履)라고도 한다. 짚신과 같은 형태의 것으로 재료에 따라 삼[麻(마련하)]으로 만든 미투리, 왕골로 만든 왕골신(菅履), 칡덩굴로 만든 청올치신, 부들로 만든 부들신[香蒲履(향포리)] 등이 있다. 짚으로 새끼를 한 발쯤 꼬아 4줄의 날을 하고, 짚으로 엮어 바닥.. 2009. 2. 2.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