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것의 기록들538 인두 120)this.width=120;"> 인두판 120)this.width=120;"> 인두 120)this.width=120;"> 인두판 바느질[針線]용구의 하나. 옷[衣類] 만드는 과정에서 구김(살)을 펴고 줄[線]을 칠(낼)때 사용하였다. 머리부분의 코끝이 마치 버선코처럼 뾰족하게 올라가고, 또한 버선코를 뒤집을 때 사용하므로 버선코인두라고도 한다. 인두에는.. 2008. 6. 16. 전차(電車) 전차(電車):공중에 설치한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지상에 설치된 궤도 위를 다니는 차 차영환 기자 . ▲ 서울어린이대공원 야외 전시 모습 (2007) ⓒ2008 CNB뉴스 ▲ CNB뉴스,CNBNEWS ,씨앤비뉴스 서울역사박물관(관장 김우림)은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야외 전시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전차(1냥)를 박물관.. 2008. 6. 14. 화로 (火爐) 화로 [火爐] 숯불을 담아놓는 그릇. 오지·무쇠·놋쇠·곱돌 따위로 만들며 형태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또, 쓰임에 따라 불씨 보존 및 보온을 위한 것, 차를 달이는 것, 난방을 위한 것, 여행 때 가마 안에서 쓰던 수로(手爐) 따위로 나눌 수 있으나 몇 가지 구실을 함께 하는 것이 보통이다. 화로는 본.. 2008. 6. 11. 옛 삼륜차 1962년 1월 일명 '딸딸이'라 불리는 3륜 화물차 'K-360'을 생산하면서, 1962년 10월 상호를 '기아산업'으로 변경한다. 2기통 577cc 엔진을 장착하였고, 63년 3월에 'T-1500', 69년에 'T-600'이라는 개량형이 나오며 1974년까지 생산된다. 종로통을....을지로를... 마포도 영등포도 서울에 부분 부분을 거침없이 누비던 당.. 2008. 6. 1. 부채 한국의 부채 허련의 산수화 합죽선 팔각부채 부채 부채는 손으로 흔들어 바람을 일으키는 간단한 기구이다 한국 부채의 기원은 고구려 안악(安嶽)3호분 벽화에 털부채가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서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록으로는 〈삼국사기〉 견훤조에 부채를 사용한 예가 보이듯 고려.. 2008. 5. 29. 물레방아 그리고 맷돌 물레방아 물레방아라는 말은 물레와 방아의 복합어이다. 한국 재래농기구 중 탈곡이나 정미 또는 제분에 이용되었던 도구로는 돌확·맷돌·절구·디딜방아·연자매·물레방아 등이 있는데, 그중 물레방아는 가장 늦게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물이 비교적 풍부한 마을에는 대개 물레방아가 하나씩 .. 2008. 5. 23. 이전 1 ··· 84 85 86 87 88 89 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