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42

질 바이든이“뷰티풀”외친 달항아리,“신소재로 바다표현하고 자개 입혔죠” 질 바이든이 “뷰티풀” 외친 달항아리, “신소재로 바다 표현하고 자개 입혔죠” [아무튼, 주말] 45國 정상 선물 만든 달항아리 류지안 작가 이혜운 기자 입력 2023.05.20. 03:00업데이트 2023.05.20. 03:21 지난달 25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높이 50㎝ 달항아리가 탁자에 놓였다. 말갛고 깨끗한 아름다움. 그런데 흔히 보던 달항아리와는 조금 다르다. 보는 각도마다 서로 다른 색이 보석처럼 반짝인다. 자개(조개 껍데기를 썰어낸 조각)다. “아름답네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부인 질 바이든 여사가 그 우아함에 감탄했다. 이 작품은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선물한 류지안 작가의 ‘더 문 화이트’다. 지난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16층 르 살롱에 있.. 2023. 5. 20.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추모… ‘유골 다이아몬드’를 아십니까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추모… ‘유골 다이아몬드’를 아십니까 [아무튼, 주말] 새 장례 문화로 각광 ‘메모리얼 다이아몬드’ 최인준 기자 입력 2023.05.20. 03:00업데이트 2023.05.20. 06:16 사람은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누군가는 다이아로 환생한다.고인의 유골(遺骨)을 보석으로 만들어 추모하는 ‘다이아몬드장(葬)’이 새로운 장례 문화로 확산하고 있다. 화장한 유골을 납골당에 보관하거나 수목장을 하는 대신 유골에서 탄소(C) 성분을 추출한 뒤 섭씨 1400도, 1600톤의 초고온 고압 환경에서 압축해 인공적으로 다이아몬드를 제작하는 것. 이렇게 만든 다이아를 반지·목걸이 형태로 제작해 유족들이 착용하거나 원석 형태로 집에 보관한다. 수시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다는 게 장점. 죽.. 2023. 5. 20.
“잠수교 패션쇼 보셨나요? 서울은 세계가 주목하는 무대, 난 세일즈맨” 사회아무튼, 주말 “잠수교 패션쇼 보셨나요? 서울은 세계가 주목하는 무대, 난 세일즈맨” [아무튼, 주말] [박돈규 기자의 2사 만루] ‘시장 한번 더’에 끌린다는 정치 인생 25년 오세훈 박돈규 주말뉴스부장 입력 2023.05.20. 03:00업데이트 2023.05.20. 10:25 서울 북촌 오르막길의 오세훈 서울시장. 기와집과 고층빌딩, 남산타워가 뒤로 보인다. 서울의 과거와 현재다.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서울 잠수교가 런웨이로 변신했다. 지난달 29일 밤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이 연 국내 첫 패션쇼. 산울림의 ‘아니 벌써’가 울려 퍼지자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배우 정호연이 모델 출신다운 워킹으로 등장했다. 루이비통 측은 “한강은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상징적인 장소”라고 했다. 16.. 2023. 5. 20.
[시로 여는 수요일] 꽃밥 [시로 여는 수요일] 꽃밥 입력2023.05.17. 오전 7:31 엄재국 ​ 꽃을 피워 밥을 합니다 ​ 아궁이에 불 지피는 할머니 ​ 마른나무에 목단, 작약이 핍니다 ​ 부지깽이에 할머니 눈 속에 ​ 홍매화 복사꽃 피었다 집니다 ​ 어느 마른 몸들이 밀어내는 ​ 힘이 저리도 뜨거울까요 ​ 만개한 꽃잎에 밥이 끓습니다 ​ 밥물이 넘쳐 또 이팝꽃 핍니다 ​ 안개꽃 자욱한 세상, 밥이 꽃을 피웁니다 꽃을 피워서 밥을 짓다니 마법처럼 보입니다. 할머니의 부지깽이가 아궁이 드나들 때마다 마른 가지들이 꽃을 활활 피워내는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나무들의 마지막 꽃이 불꽃인 줄도 새삼 알겠습니다. 오월의 이팝나무 꽃이 밥물이 넘쳐서 피운 걸 알겠습니다. 세상에 안개가 자욱한 것은 돋보이게 할 어떤 꽃을 준비한 까닭일.. 2023. 5. 18.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야설천하(野說天下) <제4화>기생 소백주 (37)이심전심 <제4화>기생 소백주 (38)유유자적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야설천하(野說天下) 기생 소백주 (37)이심전심 입력 2020. 12. 14. 18: 46 그림/이미애(삽화가) 글을 읽어 내려가는 소백주의 흰 손이 가늘게 떨리며 입가에 오월 모란꽃 같은 희미한 미소가 살포시 수줍은 듯 벙그러지고 피어나 두 볼 가득 분홍빛으로 물들어 고이고 있었다. ​ “漌泌激搖少白舟(근필격요소백주) ​ 흰 돛대를 달고 맑은 물결을 가르며 가는 아리따운 배야! ​ 進往幾年男望待(진왕기년남망대) ​ 오고 가며 몇 해나 사내를 기다리느냐! ​ 後日洋滿誰先對(후일양만수선대) ​ 훗날 배가 가득 차 누가 먼저 너를 건드렸느냐고 묻거들랑 ​ 門到兼前晩湖也(문도겸전만호야) ​ 문 앞에 함께 이른 이는 이 만호였다고 말 하여라!” ​ 하얀 돛대를 달고 고기 잡으러 오가는.. 2023. 5. 18.
미안하다,사랑한다. [국민만평-서민호 화백] 2023년 5월 18일 국민일보 2023.05.17. 만평] 조기영의 세상터치 2023년 5월 18일 서울신문 2023.05.17. 5월 18일 한겨레 그림판 한겨레 2023.05.17. 한국일보 5월 18일 만평 한국일보 2023.05.17. [매일희평] 겸손은 힘들다!! 특히 독배에 내성이 생기면 매일신문 2023.05.17. [김진호의 농민만평] 2023년 5월17일 농민신문 2023.05.17. [경기만평] 필살기... 경기일보 2023.05.17. [매일경제] 카툰 아이디 2023. 05. 18 [국제신문] [서상균 그림창] 현재 진행형서상균 기자 seoseo@kookje.co.kr | 입력 : 2023-05-17 19:53:50 [기호일보 만평] 전수조사 2023. 0.. 2023.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