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842 [김명환의 시간여행] [36] 노인에게 버스 좌석 양보 않으면 단속… [김명환의 시간여행] [37] '사내 연애 엄금' [김명환의 시간여행] [36] 노인에게 버스 좌석 양보 않으면 단속… 대통령이 "자리 양보 풍습 확대" 강조 김명환 사료연구실장 입력 2016.09.21. 03:06 1973년 시내버스로 출퇴근하던 70세의 의사 김모씨는 매일 수첩에 특별한 기록을 해 나갔다. 그날 버스에서 좌석을 양보받았는지, 양보받았다면 어떤 연령·계층의 승객이 호의를 베풀었는지를 꼼꼼히 적었다. 9개월간 조사한 결과, 962차례나 버스를 타는 동안 양보를 받은 횟수는 320회였다. 세 번에 한 번꼴밖에 안 됐다. 양보를 제일 잘 해주는 사람은 26~30세의 남자였고 노인을 가장 못 본 체하는 건 여중생들이었다. 자리를 내준 사람 중엔 점퍼 차림의 시민(65.8%)이 대다수였고 양복쟁이(31.1%)는 적었다. 특히 김씨는 이 조사를 .. 2023. 5. 13. 미군 기지 앞 아홉 살 전쟁고아, 주한미군의 30년 스승 되다 미군 기지 앞 아홉 살 전쟁고아, 주한미군의 30년 스승 되다 [아무튼, 주말] [정상혁 기자의 행각] 주한 미군에게 한국어 강의 메릴랜드大 이청자 선생 31년째 미군기지 출근 제자 1000여명 배출해 정상혁 기자 입력 2023.05.13. 03:00업데이트 2023.05.13. 06:46 지난달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 교육동 강의실에서 한국어 수업 도중 이청자씨가 환히 웃고 있다. 양옆으로 앞줄에 앉아 열심히 공부하는 주한미군 학생들의 팔이 보인다. /이신영 영상미디어 기자 영어로 give and take, 한국어로는 주고받기. 서로 번갈아 가진 것을 내어주는 오랜 미풍양속. 이청자(82)씨는 30년 넘게 주한미군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부모 없이 거리에 나앉은 아홉 살 꼬마에게 내밀어 .. 2023. 5. 13.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야설천하(野說天下)<제4화>기생 소백주 (29)식자우환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야설천하(野說天下) 기생 소백주 (29)식자우환기생 소백주 (30)기생 소백주 입력 2020. 12. 02. 18: 25 그림/이미애(단국대 예술대학 졸업) 그 선비의 이야기인 즉 글 잘하고, 춤 잘 추고, 노래 잘하고, 재산 많은 아름다운 절세미인(絶世美人) 수원 최고의 기생 소백주가 글 잘 짓는 선비를 찾아 남편으로 삼겠다고 그새 이년도 넘게 저 방을 붙여놓고 수많은 글 잘하는 선비들을 제 집으로 불러들여 지은 글을 본다는 것이었다. 이 나라에 소문난 수많은 선비들이 기생 소백주의 미모와 재주와 재산을 보고 그녀의 남편이 되겠다고 그 앞에 나아가 글을 지어 올렸으나 지금껏 죄다 떨어졌다는 것이었다. “실은 우리도 지금 그 소백주 집에 다녀온다오. 죄다 떨어졌지만 아무.. 2023. 5. 12. ‘출렁다리’보다 높게 치솟는 물줄기… 논산의 달밤을 적시다 ‘출렁다리’보다 높게 치솟는 물줄기… 논산의 달밤을 적시다 입력 :2023-05-12 00:49ㅣ 수정 : 2023-05-12 07:33 ‘호수와 숲의 도시’ 힐링 논산 충남 논산은 드넓은 평야가 감싼 도시다. 예부터 호서 지방의 대표적인 곡창지대 중 하나였다. 탑정호는 논산평야의 젖줄 구실을 하는 호수다. 규모로는 충남을 통틀어 두 번째로 넓다. 탑정호의 낮과 밤은 확연히 다르다. 낮엔 적요하고 밤엔 요염하다. 관광지로 본격 개발되면서 이제 논산의 랜드마크로 떠오르는 중이다. ▲ 논산 탑정호 수변무대에서 경쾌한 음악과 세련된 분수쇼가 30분 정도 밤의 호수를 밝힌다. 계백장군 형상으로 만든 포토존과 화려한 조명이 독특한 밤 풍경을 만든다. ●탑정호 생태공원, 해거름 조명 제격 10 초 후 SKI 아침나.. 2023. 5. 12. [오후여담]작곡가 손목인 [오후여담]작곡가 손목인 문화일보입력 2023-04-18 11:37프린트댓글0폰트공유 김종호 논설고문 ‘부평(浮萍) 같은 내 신세가 혼자도 기막혀서/ 창문 열고 바라보니 하늘은 저쪽/ 고향 앞에 버드나무 올봄도 푸르련만/ 버들피리 꺾어 불던 그때는 옛날/ 타향(他鄕)이라 정이 들면 내 고향 되는 것을/ 가도 그만 와도 그만 언제나 타향’. 한국 대중가요 1세대 작곡가 손목인(1913∼1999)이 1934년 발표할 때 제목은 ‘타향’이던 명곡 ‘타향살이’ 가사 일부다. 그 음반은 1개월 만에 5만 장 넘게 팔렸다. 당시 기준으로는 밀리언셀러와 다름없다. 그는 이렇게 밝힌 적이 있다. “내가 유학 중이던 일본에서 여름방학을 틈타 일시 귀국했을 때다. OK레코드 사장은 그 회사 문예부장 김능인이 쓴 가사를 들.. 2023. 5. 12. 이게 무슨 일이고.... 매일희평] 이번 총선은 웰빙 가마 대 진영보위 가마 대결 매일신문 2023.05.11. [박용석 만평] 5월 12일 중앙일보 2023.05.11. 5월 12일 한겨레 그림판 한겨레 2023.05.11. 국민만평-서민호 화백] 2023년 5월 12일 국민일보 2023.05.11 [만평] 조기영의 세상터치 2023년 5월 12일 서울신문 2023.05.11. 한국일보 5월 12일 만평 한국일보 2023.05.11. [데일리안 시사만평] 김남국·송영길·이재명 같은 전략…희안한 변명에 민심은? 데일리안 2023.05.11. [경기만평] 매각 권고...? 경기일보 2023.05.11. [매일경제] 카툰 아이디 2023. 05. 12 [국제신문] [서상균 그림창] 끝나지 않는 엔딩서상균 기자 seoseo@kookj.. 2023. 5. 12.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1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