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42

[술술 읽는 삼국지](1) 나관중의 ‘삼국연의’ 첫 구절은? 더 차이나 술술 읽는 삼국지 [술술 읽는 삼국지](1) 나관중의 ‘삼국연의’ 첫 구절은? 중앙일보 입력 2023.01.16 06:00 업데이트 2023.01.16 10:34 허우범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해가 바뀐 지 벌써 보름이나 지났습니다. 2023년 새해에는 난세를 이겨내는 지혜가 담긴 중국 고전 삼국지를 저와 함께 읽어보면 어떨까요? 오늘부터 읽는 삼국지는 소설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삼국연의(三國演義)』입니다. ‘연의’라는 말은 역사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여기저기서 전해져오는 야사와 전설 등 그럴듯한 이야기들을 모아서 만든 것입니다. 요즘 말로 ‘팩션(faction)’입니다. 소설 '삼국연의'의 작가 나관중. [출처=예슝(葉雄) 화백] 우리는 '삼국지'라고 말하면 일반적으로 소설을 뜻하지만.. 2023. 4. 17.
화마의 상처 안고 재회…“얼마나 뜨거웠을까” 화마의 상처 안고 재회…“얼마나 뜨거웠을까” 입력 : 2023.04.14 16:13 수정 : 2023.04.14 16:17 사진·글 권도현 기자 지난 11일 강원 강릉시 난곡동 일대에서 시작된 산불은 순간 최대풍속 30m를 타고 불과 8시간만에 축구장 면적 530배에 달하는 379㏊의 토지와 주택과 펜션 등 154곳(13일 기준)을 집어삼켰다. 42년째 강릉 저동에서 살아오던 이세기씨는 이번 산불로 순식간에 삶의 터전을 잃었다. 이씨의 집과 우사는 이번 불로 전소됐다. 흔적만 남은 집터에서 소방관들은 잔불을 정리하고 있었다. 산불이 강풍을 타고 도깨비불처럼 날아다니던 시간, 이씨는 집에서 키우던 소 3마리를 묶었던 끈을 낫으로 끊은 뒤 우사의 문만 열어 놓은 채 몸만 피할 수밖에 없었다. 돌아와보니 3마.. 2023. 4. 17.
[포토 다큐] 청춘 쫄지마라 시작은 축제다 [포토 다큐] 청춘 쫄지마라 시작은 축제다0 입력 :2016-09-25 22:46ㅣ 수정 : 2016-09-26 00:01 입대를 불과 몇 시간 앞둔 청년들과 사랑하는 아들을 군에 보내야 하는 가족의 입가에 모처럼 웃음꽃이 핀다. 배웅하러 나온 친구들의 웃음소리는 가을 하늘만큼이나 청량하다. 아쉬움 가득한 이별의 장, 그래서 떠나는 이의 뒷모습이 시야에서 사라질 때까지 쉽사리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았던 기억 속의 그곳이 맞나 싶다. ▲ 육군훈련소에서 열린 입소식에서 입영 장정들이 부모님들께 건강히 군 생활을 마치고 돌아오겠다며 힘차게 경례하고 있다. 익숙한 환경을 떠나 대한민국 남자로 새 출발을 하는 곳, 입영 현장이 달라지고 있다. 처음 맞닥뜨리는 군 생활에 대한 불안감과 사랑하는 이를 낯선 곳으로 보내.. 2023. 4. 17.
시니어의 마음가짐 45계 시니어의 마음가짐 45계 ♦️1.혼자지내는 습관을 길들이자. ♦️2.남이 나를 보살펴 주기를 기대하지 말자. ♦️3.남이 무엇인가 해줄것을 기대하지 말자. ♦️4.무슨일이든 자기힘으로 하자. ♦️5.몸이 힘들어도 걷기운동을 생활화 하자. ♦️6.한살이라도 젊었을때 보다더 많이 움직이자. ♦️7. 늙으면 시간이 많으니 항상 유산소 운동을 하자. ♦️8.당황하지 말고 성급해하지 말고 뛰지말자. ♦️9.체력과 기억력이 왕성하다고 뽐내지 말자. ♦️10.잠이오면 자고,잠을 설치더라도 신경쓰지 말자 ♦️11.나의 괴로움이 제일크다고 생각하지 말자. ♦️12.편한 것만 찾지말고 외로움을 만들지 말자. ♦️13.늙은이라고 냉정히 대하더라도 화내지 말자. ♦️14.자식들이 무시하더라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자 ♦️15... 2023. 4. 17.
정력의 화신 오신채(五辛菜) 정력의 화신 오신채(五辛菜) 이제 새봄이 성큼 다가 왔어요 벌써 개나리 진달래 벗꽃도 활짝 피었어요 새봄이 오면 우리는 각종 나물종류들를 많이 먹게 되지요 그 추운 엄동설한(嚴冬雪寒)을 이겨내고 새싹을 티우는 나물에는 짙은 향기와 각가지 영양분이 가득하여 우리들의 입맛을 돋아주고 있어요 그런데 이 봄나물 중에는 오신채(五辛菜)라는 것이 있는데 오신채에 대해서 몇번 올렸던 글이지만 새봄을 맞아 다시한번 올려보기로 할께요 오신채(五辛菜)란 불교에서 금하는 다섯가지 채소를 일컫는 말인데 한국 사찰에서는 특별히 금기시 하는 음식이 있어요 이 음식이 바로 마늘, 파, 부추, 달래, 무릇의 다섯가지인데 이 음식은 대부분 자극이 강하고 냄새가 많이 나는것이 특징이지요 불교의 율장(律藏)에 따르면 이러한 음식을 공양하.. 2023. 4. 17.
돈 봉투 파문 4월 17일 한겨레 그림판 한겨레 2023.04.16. [박용석 만평] 4월 17일 중앙일보 2023.04.16. [국민만평-서민호 화백] 2023년 4월 17일 국민일보 2023.04.16 한국일보 4월 17일 만평 한국일보 2023.04.16. [만평] 지지율 롤러코스터 오마이뉴스 2023.04.16. [매일희평] 이번 총선 명나땡 대 3나땡(3명 설치면 민주당이 땡큐??) 매일신문 2023.04.16. [매일경제] 카툰 아이디 2023. 04. 17 [국제신문] [서상균 그림창] 참사와 반복서상균 기자 seoseo@kookje.co.kr | 입력 : 2023-04-16 19:50:15 [기호일보 만평] 천 원의 행복 2023. 04. 17 ​ 2023.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