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역사) 이야기674 [대한민국 제1호] 사립학교 [대한민국 제1호] 사립학교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주민들이 돈 모아 세운 원산학사근대적 교육기관으로서의 사립학교가 처음으로 세워진 것은 1883년(고종 20) 함경도 원산에서였다. 당시 개항과 함께 외세의 침투를 걱정하던 원산상회소(元山商會所)를 중심으로 신지식을 가르칠 교육기관을 설립하.. 2010. 12. 22. [대한민국 제1호] 산부인과 의원 [대한민국 제1호] 산부인과 의원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doctor@chosun.com 남자 의사가 첫 문 연 '신필호산부인과의원' 1925년 문을 연 '신필호 산부인과'는 한국인에 의한 대한민국 최초의 산부인과 의원의 등장이었다. 아녀자들이 몸을 함부로 드러내지 않던 시절, 본격적으로 부녀자의 골반 질병을 진료하.. 2010. 12. 16. [스크랩] 서오릉 전설 숙종의 명릉,인현왕후,장희빈 등의 능이 있는 서오릉, 그 속에 깃든 재밌는 이야기 갈처사와 숙종대왕(명릉) 숙종대왕이 수원성 고개 아랫쪽 냇가(지금 수원천 부근)를 지날 무렵 허름한 시골 총각이 관 하나를 옆에 놔두고 슬피 울면서 땅을 파고 있는게 아닌가. 상을 당해 묘를 쓰는 것은 흔한 일이지.. 2010. 12. 13. [스크랩] 조선 왕들에게 이런 일이... 조선 국왕들의 일화 태종 1. 직업정신 투철한 사관이 따라다니며 일거수일투족을 다 기록해서 태종이 걷다 헛발질한 것도 적었다. 태종이 그건 제발 지워달라, 창피하다 애원까지 했는데도 사관은 끝까지 "왕이 길을 걷다 헛발질하다. 헛발질한 것을 적지 말라고 말한 것은 적지 말라 명하셨다"라고 적.. 2010. 12. 13. [대한민국 제1호] 주화 [대한민국 제1호] 주화 박순욱 기자 swpark@chosun.com 미국서 만든 무궁화(10환)·거북선(50환) 동전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지폐는 1950년 6·25 전쟁 직후에 나왔지만, 최초의 주화(鑄貨·동전)는 1959년에 탄생됐다. 동전을 발행하게 된 것은 화폐비용 절감 차원이었다. 주화는 지폐에 비해 사용기한.. 2010. 12. 11. [대한민국 제1호] 1948년 '유모차' 첫 실용신안 등록 [대한민국 제1호] 1948년 '유모차' 첫실용신안 등록 이길성 기자 atticus@chosun.com 특허우리 역사상 최초의 특허법은 1908년 8월 12일 공포된 일본의 칙령 제196호 특허령, 제197호 의장령, 제198호 상표령이었다. 이 시절 등록된 최초의 특허는 정인호(鄭寅琥)가 출원한 말총모자였다(영동대 발명특허공무원학과.. 2010. 12. 9.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