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역사) 이야기674 유명한 역사적 순간을 담은 42 장의 희귀 사진(24~28) 유명한 역사적 순간을 담은 42 장의 희귀 사진 아래에 게시 사진술. 24 –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 의자와 테이블에 올라가 베르사이유 조약을 지켜보는 사람들. [1919] 25 – 미 군부대 방문 중 아이스크림을 먹는 피델 카스트로. [1959] 26 – 타이타닉을 침몰시킨 빙산. 옆 면에 검은 색과 빨간 색의 페인트 자국을 볼 수 있다. [1912] 27 – 대륙횡단 철도 건설 직후 철도를 지켜보는 미국 인디언. [1868] 28 – 뉴욕 할렘가의 월남전 반대 포스터. [1967] 다음페이지>> 2022. 5. 16. 신의 정원 조선 왕릉(18)숙의에서 행운의 왕비로… 인종 낳고 산후병으로 승하 신의 정원 조선 왕릉18 숙의에서 행운의 왕비로… 인종 낳고 산후병으로 승하 중종의 제1 계비 장경왕후의 희릉 이창환 상지영서대 조경학과 교수 55hansong@naver.com 사진 제공·문화재청, 서헌강, 이창환 입력2010-07-26 15:56:00 숙의에서 행운의 왕비로… 인종 낳고 산후병으로 승하 12지간의 난간석을 두른 희릉의 능침. 1970, 80년대 사랑을 주제로 한 영화 촬영지로 인기를 모았던 고양의 서삼릉 목장 포플러 가로수길은 희릉(禧陵)의 일부다. 희릉은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제1 계비이자 인종의 어머니인 장경왕후(章敬王后, 1491~1515) 윤씨의 단릉(單陵)이다. 장경왕후는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 신씨가 폐위되자 다음 해 왕비에 책봉됐다. 희릉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 2022. 5. 10. ■ 박영규의 지식카페 -⑧ 王들의 환관 관리 Ⅲ 박영규의 지식카페 -⑧ 王들의 환관 관리 Ⅲ 현종 땐 ‘내관 편만 든다’ 불만들 사관 기록에 남아… 영향력 키운 환관들, 숙종 머무는 곳에 기녀 불러 노는 등 오만 극치 정조가 환관과 조정 관리 사적 만남 금지하자 횡포 줄어… 갑오개혁 이후엔 궁녀와 동급으로 전락 ◇계속된 전란에 지쳐 자포자기한 인조 = 인조는 이괄의 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등의 전란을 겪으면서 여러 차례 도성을 버리고 몸을 피해야만 하는 사태를 당했다. 이런 일련의 난국은 환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임진왜란처럼 승리한 전쟁에선 환관들에게 왕을 호종한 공을 평가해 공신 책록을 내리기도 했지만, 병자호란은 인조의 치욕적인 항복으로 끝났기에 환관들에게도 고생의 대가가 주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환관들은 청나라 사신들에게 불려가 곤욕을 .. 2022. 5. 6. 신의 정원 조선 왕릉(17)反正에 ‘죄인의 딸’로 둔갑 7일간 왕비, 49년간 폐비 비운 신의 정원 조선 왕릉17 反正에 ‘죄인의 딸’로 둔갑 7일간 왕비, 49년간 폐비 비운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 온릉 이창환 상지영서대 조경학과 교수 55hansong@naver.com 사진 제공·문화재청, 서헌강, 이창환 입력2010-07-19 17:12:00 反正에 ‘죄인의 딸’로 둔갑 7일간 왕비, 49년간 폐비 비운 단아한 모습의 온릉 전경. 온릉(溫陵)은 조선 제11대 왕 중종(中宗)의 원비 단경왕후(端敬王后, 1487~1557) 신씨(愼氏)의 능이다. 단경왕후의 능침만 있는 단릉(單陵)으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 19번지에 있다. 39번 국도와 인접하며 교외선 온릉역과 장흥역 사이에 있다. 단경왕후 신씨는 1506년 중종반정으로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됐다가 고모와 아버지, .. 2022. 5. 6. 신의 정원 조선 왕릉(16) 3명 왕후 7명 후궁 거느렸지만 홀로 안장에 도굴 수모 신의 정원 조선 왕릉16 3명 왕후 7명 후궁 거느렸지만 홀로 안장에 도굴 수모 중종의 정릉 이창환 상지영서대 조경학과 교수 55hansong@naver.com 사진 제공·문화재청, 서헌강, 이창환 입력2010-07-12 13:06:00 3명 왕후 7명 후궁 거느렸지만 홀로 안장에 도굴 수모 400여 년 전 임진왜란의 아픔을 잊고 현란한 도심을 지키는 중종의 능침. 정릉(靖陵)은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 1488~1544)의 능으로 현재 서울 강남구 삼성동 131번지에 있다. 조선 왕릉으로는 드물게 왕의 무덤만 단출하게 있는 단릉 형식인데, 이렇게 된 데는 사연이 있다. 중종은 성종의 둘째아들로 계비 정현왕후 윤씨에게서 태어나 휘는 역()이요, 자는 낙천(樂天)이다. 1494년 진성대군(晋城大君).. 2022. 5. 2. 이야기 공작소-피란수도 부산…1023일간의 이야기 <2> 부산 전차와 남선전기 사옥 이야기 공작소-피란수도 부산…1023일간의 이야기 부산 전차와 남선전기 사옥피란민 몰려 인구 100만… 전차는 늘 초만원, 소매치기까지 들끓었다부산스토리텔링협의회 | 입력 : 2022-03-29 18:55:59 - 무상원조로 부산서 20량 운행 - 승객 붐벼 늘 불친절하던 승무원 - 무리한 탑승 땐 신발 던져 내쫓아 - 동아대서 지역 마지막 전차 전시 - 상공부, 한국전력을 청사로 사용 - 화장실 찾기 힘든 피란민 몰리며 - 정화조 터져 사무실 악취 소동도 임시수도기념거리는 동아대 부민캠퍼스 입구에서 임시수도기념관까지 도로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임시수도기념거리는 피란 시절 부산 서구의 역사적 의미와 대학 문화를 접목해보자는 뜻에서 조성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생활상을 담은 조각들이 거리를 따라 조성되어 .. 2022. 4. 30.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