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 저런 아야기794 [포토 다큐] 태양의 후보생 [포토 다큐] 태양의 후보생 입력 :2016-05-15 23:08ㅣ 수정 : 2016-05-16 01:23 ‘여군 1만 시대’ 숙명여대 학군단 ‘군인=남성’의 공식이 깨진 지 오래다. 매년 250명을 뽑는 여대 학군단(ROTC: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의 경쟁률은 6대1에 육박한다. 11월엔 숙명여대와 성신여대에 이어 이화여대에 세 번째 여대 학군단이 창설된다. ‘여군 1만명 시대’를 앞두고 대한민국 최초의 여대 학군단인 숙명여대 217학군단을 찾았다. ▲ 숙명여대 캠퍼스에서 많은 학생이 오가는 가운데 단복을 입은 박예은(왼쪽·56기·정치외교학과) 후보생이 홍영원(55기·컴퓨터과학부) 후보생에게 경례를 하고 있다. (셔터스피드 1/3초, 조리개F22, ND필터 사용) ▲.. 2023. 4. 4. [포토 다큐] ‘태후’ 총격신처럼 쏴! 쌓인 스트레스가 싹! [포토 다큐] ‘태후’ 총격신처럼 쏴! 쌓인 스트레스가 싹! 입력 :2016-05-01 17:24ㅣ 수정 : 2016-05-02 00:47 국내서 즐기는 실탄 사격 4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성공한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탄탄한 근육질의 멋진 배우들이 벌이는 총격신도 한몫했을 것이다. 드라마 속 총격신을 보면서 ‘나도 저렇게 멋지게 총 한 번 쏴 보면 좋겠다’고 생각한 이들도 적지 않을 터. 총기 규제가 다른 나라보다 엄격한 국내에서도 실제 총기로 실탄 사격을 즐길 수 있는 사격장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전국적으로 10곳의 클레이 사격장과 14곳의 권총사격장 등 24곳의 실탄 사격장이 분포해 있다. 14세 이상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데 최근 .. 2023. 4. 3.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野說天下(9~12)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野說天下 명필 이삼만 (10)이삼만과 독사 입력 2020. 09. 17 17: 30 “그러니까 태조 이성계가 고려왕실을 멸망시키고 그 소경점쟁이를 수소문해서 찾아가 크게 후사(厚謝)를 하고 일이 있을 때마다 불러와서 점사(占辭)를 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는구만요.” 그림/이미애(단국대 예술대학 졸업) 검은 수염 덥수룩한 중년의 사내가 걸걸한 목소리로 말했다. “눈 봉사여도 그 점쟁이 성한 사람보다도 더 뛰어나네. 왕 될 사람도 알아보고 그랴!” 늙은 사람 하나가 혀를 내두르며 말한다. “어흠! 본래 그것이 세상이치라네! 도둑이야기에 왕 이야기를 들었으니 좋다! 나는 선비 학자 글씨로 이름 날린 명필 이삼만 선생 이야기를 하나 들려주지” 유선각 가운데 앉아 산.. 2023. 4. 2. “5일장 가도 점심 못 먹지···버스 놓칠까봐” “5일장 가도 점심 못 먹지···버스 놓칠까봐” 2년 전 마을까지 들어오는 버스 생긴 진재마을 시장 가는 노선은 2번, 돌아오는 버스는 딱 1번 수도권 도시는 정류장당 하루 평균 112회 정차 고추와 인삼 재배로 유명한 충북 음성군에 ‘진재’라는 마을이 있다. 앞산에 긴 고개가 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시외버스터미널 역할을 하는 대소면 공동정류장으로부터 7㎞, 금왕읍으로부터는 5㎞가량 떨어진 한국의 평범한 농촌마을이다. 충북 금왕읍 진재마을에서 버스를 타는 노인들. 이곳에서 ‘5일장’이 열리는 무극시장으로 가는 버스는 아침에 두번 정차한다. 시장에서 마을로 오는 버스는 정오 무렵에 한 번 들어온다. / 송윤경 기자 지난 3월 15일 9시에 들른 진재마을의 아침은 고요했다. 고추밭과 들판을 지나 푸른.. 2023. 3. 31.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野說天下(7~9)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野說天下 명필 이삼만 (7회)문중유구(門中有口) 입력 2020. 09. 14 18: 10 그림/이미애(단국대 예술대학 졸업) ‘허허! 저 비렁뱅이 거지가 자신의 운명의 길흉을 점치려 하는 것인가?’ 이성계는 호기 어린 눈빛으로 가까이 다가가 그들을 바라보았다. “맹인 도사님, 이놈 팔자가 어떻겠는가? 운명을 좀 봐주시오” 비렁뱅이가 말했다. “아! 좋지요.” 그 말을 들은 소경점쟁이가 손님이 와서 앞에 앉은 것을 알고는 반질반질 기름때 묻고 닳아빠진 나무판에 여러 한자가 검은 글씨로 조각되어진 것을 비렁뱅이 앞으로 쓱 내밀었다. “자! 여기 판에 새겨진 글자 중 맘에 드는 글자를 하나 골라보시오?” 소경점쟁이가 고개를 흔들면서 말했다. “아암! 좋.. 2023. 3. 31. 명필 이삼만 (5)제 5회 만천과해(瞞天過海) [남도일보] 강형구 작가의 野說天下 명필 이삼만 (5)제 5회 만천과해(瞞天過海) 입력 2020. 09. 10 18: 43 그림/이미애(단국대 예술대학 졸업) 한달음에 대문 앞에 당도한 이진사는 기가 콱! 막혔다. 거기 묶여 있어야할 황소는 없고 막 싸놓은 소똥 내음에 생풀들만 어지러이 흩어져 있었다. 잠시 넋을 잃고 서있던 이진사는 적동이 흰옷을 입고 걸터앉아 있는 감나무를 바라보았다. 거기 아직 흰옷은 그대로였다. ‘그 그렇다면!.......’ 이진사는 순간 전광석화처럼 머릿속을 스쳐가는 것이 있어 감나무 아래로 미친 듯이 뛰어가면서 집안을 바라보고 소리쳤다. “이놈들아! 어서 횃불을 들고 나오너라!” 이진사가 감나무 아래에 당도하고 뒤이어 턱수염이 새까맣게 자란 젊은 하인이 횃불을 들.. 2023. 3. 3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133 다음